• 오피니언
  • 사설

[사설]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 잘 살리자

  • 승인 2025-05-21 17:07

신문게재 2025-05-22 19면

1488377655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전시가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를 통해 민간 주도 우주선 개발 시대를 앞당기게 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규제자유특구위원회의 특구 지정에서 지역 연구기관과 기업의 협업이 빛을 발했다. 우주 추진용 고압가스 부품의 기술 혁신으로 기업 사업화 진입 장벽을 낮추는 호기로 삼아야 한다.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 제조 글로벌 혁신특구'로도 동시 지정됐다. 우주·국방과 바이오를 전략산업으로 띄우는 '메가 샌드박스 대전' 계획에 날개를 달았다.

특구 지정의 다른 의미에는 기존 국가 중심 체계에서 벗어나 민간이 주도한다는 점도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실증 총괄을 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ST 등 11개 우주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한다. 대전테크노파크는 지원과 운영을 맡는다. 기존 우주산업 클러스터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와도 연결 지점이 있다. 우주산업 신산업·신기술은 성장성과 파급력이 큰 분야다. '뉴스페이스' 산업화 생태계 조성 등 다방면으로 효과를 살려 잘 써야 한다.



우주산업과의 연관성이 대전은 어느 지역보다 깊다.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부터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 발사 성공 등 우주개발의 터를 다진 곳이다. 2025년 국가산업대상 우주산업 선도도시 부문 대상에 오른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인적·물적 인프라와 기술력에서 대전은 여전히 우주산업의 거점이다. 소중한 자산과 위상을 인위적으로 달라지게 해선 안 된다. 2030년 대전 우주산업 육성 종합계획과도 조합해 글로벌 리더의 비전을 실현하면 국가적으로도 큰 이득이다.

6·3 대선 공약에도 과학수도 대전을 우주산업 중심지로 키운다는 구상은 들어 있다. 그런데 우주산업 경쟁력과 산업계 연계 강화에 대한 구체성이 부족하고 피상적이다. 항공우주산업에 연고가 있는 대전의 보유 인프라를 달 착륙과 화상 탐사에서도 활용해야 한다. 탄탄한 우주산업 기반만 봐도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의 대전 설치는 당위성이 충분하다. 우주 추진 기술의 원천 연구를 포함한 K-우주산업 기반 다지기는 대전을 제외하고는 말할 수 없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