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4월 미분양 주택 감소세 속 대전은 오히려 늘어… 전국 '악성 미분양'도 심각

전국 미분양 주택 6만 7793세대 1.6% 감소
대전 미분양 한달새 16.2% 늘어 전국 최다
악성 미분양 11년 8개월만 최대 규모 달해
"세제 혜택 등 지방 수요진작 방안 필요해"

조훈희 기자

조훈희 기자

  • 승인 2025-06-01 11:17
2025년 4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2025년 4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부 제공.
4월 말 전국 미분양 주택이 감소한 반면, 대전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미분양 주택 증가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4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4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7793세대로 전달(6만 8920세대)보다 1127세대 줄었다. 수치로 환산하면 1.6% 줄어든 셈이다. 수도권과 지방은 각각 3.8%, 1.0% 감소했다.



이 가운데 대전은 오히려 미분양 주택이 늘었다. 대전 4월 미분양 주택은 2105세대로 전달(1811세대)보다 294세대 늘었다. 이는 16.2% 늘어난 수치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미분양 주택이 늘어난 지역은 대전과 부산(4.9%), 전북(3.3%)이 유일했다.

충청권 중 충남은 미분양 주택이 267세대 줄어든 4817세대로 집계됐으며, 충북은 2186세대로 전달보다 119세대 감소했다. 세종은 57세대로 전달(58세대)보다 미분양 주택이 1세대 줄었다.

여기에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적체도 심화하고 있다. 4월 전국 준공 후 미분양(악성 미분양) 주택은 2만 6422세대로 전달 대비 5.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8월(2만 6453세대) 이후 11년 8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준공 후 미분양은 2023년 8월 이후 21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중 지방 물량이 80%가량을 차지했다. 4월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한 달 전보다 6.5% 증가한 2만1897세대로 집계됐다.



충청권을 보면, 충북은 준공 후 미분양이 559세대로 전달(525세대)보다 34세대 늘었다. 이는 6.5% 늘어난 수치다. 이는 전북(41.7%), 경북(21.8%), 대구(16.1%)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증가율이다. 이밖에 대전은 전달(522)보다 11세대 늘어난 533세대로 집계되며 2.1% 증가했고, 충남은 전달보다 48세대 감소한 1328세대로 3.5%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별로 보면, 대구가 3776세대로 가장 많았고, 경북(3308세대), 경남(3176세대), 부산(2462세대) 등의 순이었다.

준공 후 미분양은 아파트가 지어진 뒤에도 분양하지 못해 건설 경기 불확실성을 늘리고, 부동산 침체를 유발하는 등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준공 후 미분양을 해소하기 위해 세제 혜택 등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지방 수요 진작을 위해 다양한 정책 발굴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