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 부산/영남

[기자수첩] 사람이 사라진 곳에 공간만 남기려는가

김정식 기자

김정식 기자

  • 승인 2025-06-11 14:51
김정식 기자
김정식 기자<사진=김정식 기자>
"사람은 없고, 건물만 남는다."

요즘 농촌과 어촌, 산촌에 가면 자주 떠오르는 문장이다.



정주 여건을 개선한다며 쏟아지는 공모사업은 화려하다.

농산어촌뉴딜, 우리동네살리기, 중심지활성화 등, 이름도 길고 목적도 선하니 반대할 명분조차 없다.

하지만 그 현장을 걷다 보면 실소가 먼저 터진다.



그럴싸한 건물 옆엔 아무도 없다.

문이 굳게 닫힌 채, 도색도 채 마르지 않은 회관 옆엔 인기척조차 없다.

사람이 없다.



정부와 지자체는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에 혈세를 아끼지 않는다.

수천억이 투입되고, 기자회견과 홍보자료는 넘쳐난다.

그러나 정작 그 공간에 있어야 할 주민들은 고령화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전국 면 지역 빈집률은 이미 40%를 넘어섰고, 출산율은 지표라 부르기도 민망할 만큼 줄어들고 있다.

고령화는 KTX급 속도인데, 정책은 걸음마다.

한 번 되묻고 싶다.

사람이 없는 공간이 왜 필요한가?

사람이 살아야 집도, 길도, 회관도 의미가 있다.

사람이 없어 을씨년스러운 마을에 수십억을 들여 만든 센터가 어떤 생명을 품을 수 있을까.

이 모든 건 지방선거를 앞둔 생색내기에 더 가까워 보인다.

지금 필요한 건 공간 정비가 아니다.

사람에 대한 투자다.

치열하게 사는 사람들이 모여 서로 부대끼며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한다.

돌봄, 금융, 주거, 출산, 여가, 문화, 이 모든 것이 사람 중심으로 짜여야 한다.

"정주여건 개선"은 사람이 모인 뒤의 문제다.

지금은 그 순서가 뒤집혀 있다.

우리는 물길을 바꾸는 데는 능하지만, 흐름을 읽는 데는 둔감하다.

흐름은 명백하다.

지방은 소멸되고 있다.

국가가 해야 할 일은 '기억의 공간'을 만드는 일이 아니다.

'살아갈 사람'을 붙잡는 일이다.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진짜 대책은 공간이 아니라 사람이다.

지금이 바로, 순서를 되돌릴 마지막 기회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