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세종 '금강수목원' 활용 방안 고민해야

  • 승인 2025-07-06 13:17

신문게재 2025-07-07 19면

수십 년 간 세종시민을 비롯한 많은 국민의 안식처 역할을 한 금강수목원(충남산림자원연구소)이 7월부터 출입 통제 등 폐쇄 조치 되면서 제대로 된 활용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993년 충남도 자산으로 문을 연 금강수목원은 2012년 출범한 세종시 행정구역에 편입됐으나 소유권은 충남도가 갖는 구조였다. 충남도가 산림자원연구소의 청양 이전 방침을 정하고, 이전 재원을 민간 매각 비용으로 조달하는 계획이 알려지자 논란이 커지고 있다.

금강수목원의 민간 매각 추진에 지역에선 반대 여론이 일고 있다. 세종지역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금강수목원 공공성 지키기 네트워크'는 민간 매각과 상업개발을 반대하고 나섰다. 금강수목원은 면적이 269만㎡로 광릉수목원에 이어 전국 2번째 규모이며, 자연휴양림과 산림박물관·열대온실 등을 갖췄다. 시민단체는 금강수목원을 민간에 매각하면 상업성에 치우친 난개발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세종시가 자체 매입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재정난으로 3000억원이 넘는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산림청 등 정부 차원의 산림 휴양시설 활용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막대한 매입 비용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세종시 출범 전부터 금강수목원 문제는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음에도 지방정부나 중앙정부 사실상 모두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금강수목원을 민간에 매각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인지 재고했으면 한다. 민간 매각은 필연적으로 수익을 위한 난개발을 부르고, 공공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초광역 메가시티' 추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충청광역연합의회'에 금강수목원 문제를 논의 테이블에 올려 정부 지원 방안 및 4개 시·도 협력 차원의 해법을 모색하기 바란다. 민간에 매각하는 단순한 방식에 의해 금강수목원을 서둘러 폐쇄 조치하는 것이 아닌 긴 호흡으로 문제를 풀어갈 필요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