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지역-지방대 협업으로 '쏠림' 막아라

  • 승인 2021-05-06 17:00

신문게재 2021-05-07 19면

수도권 초집중과 지역 간 불균형은 대학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현상적으로 접근하면 청년층 지역 이탈은 1000대 기업 4곳 중 3곳이 수도권에 소재한 것이 시발점이다. 수도권 쏠림의 마지막 수순은 지방의 몰락일 뿐이다. 복잡한 정책보다 지역에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생산가능인구를 늘리는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조속한 2차 공공기관 이전도 같은 맥락이다.

지역에서도 자구책 찾기에 혈안이다. 메가시티 등 초광역화 정책에서 돌파구가 보이지만 단순한 물리적 결합은 한계를 곧 드러낸다. 수도권 집중의 흐름을 끊는 국가 차원의 큰 그림이 더해져야 하는 이유다. 지역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지자체와 지역 대학 협업체계도 해법의 한 가지는 된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6일 선정한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은 좋은 대안이다. 권역 내 24개 대학과 68개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하는 사업이니 관심이 지대할 수밖에 없다.



기존 단일형 사업자에서 연합 형태로 전환해 권역 내 17개 대학과 46개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한 울산·경남 플랫폼도 기대를 모은다. 충북과 광주·전남을 포함해 8개 지자체의 4개 플랫폼 모두 취업과 창업, 정주 면에서 탁월한 지역 혁신 모형을 창출해야 할 것이다. 권역 융복합 핵심 인재 일부를 대전·세종·충남(DSC) 공유대학을 통해 배출하는 방식도 새로운 시도다. 수도권에서 지방을 빨아들이는 고리를 끊는 중요한 실마리를 지방대에서 찾아야 한다.

명문대도, 대기업도 계속 서울에 둥지를 튼다면 집중화를 막아낼 수 없다. 내년 대학 정원이 2500여 명 늘어난 가운데 86%는 수도권 대학에 치중해 있다. 지난해 미달 모집정원과 인공지능 등 첨단 분야 학과 위주로 한시 증원한 결과다. 이것은 공동입시제로 수도권 포화 상태를 막자는 제안까지 나오는 현실과는 모순된 정책이다. 코로나19 이후 더 쏠릴 수도권 집중의 그늘에서 지방대가 무너지면 지자체의, 그리고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위협받는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