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세계 석학 염규호 교수, 초등학교 6학년 두 번 다니다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고미선 기자

고미선 기자

  • 승인 2018-11-13 09:59
이승선교수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폭염이 쏟아지는 한 여름 서울의 대학 교수회관 로비. 군데군데 백발이 성긴 교수 한 분이 묵직한 의자들을 요리조리 옮겼다. 얼추 강연장이 만들어졌다. 강의가 시작되었다. 미국에 유학을 하고 저명한 대학의 종신 교수로 임용된 과정을 나긋나긋 설명했다. 신문과 책 읽기를 좋아했던 그는 중학생 시절 운명처럼 '미국 25시'라는 책을 만났다. 가난한 한국 학생이 미국 생활을 견뎌내는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교수는 그 책을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여러 번 읽었고 그 책을 통해 인생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교수는 좌절당할 뻔 했던 어린 시절의 꿈을 이야기했다. 공부를 잘했으나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했다. 농사일을 거들고 집안일을 돌봐야 한다는 엄한 부친의 엄명 때문이었다. 염소에게 먹일 풀을 베거나 땔감용 나무를 구하러 산을 올라야했다. 노동하는 육체적 고달픔보다 중학생 친구들을 마주치지 않으려고 시간을 비껴가는 일이 더 고통스러웠다. 소년은 착해서 부모 속을 끓인 적이 없었다. 성실한 열네 살 소년 농부를 부모는 대견스러워했다. 소년의 가슴에 용광로처럼 끓는 꿈이 있었다. 소년은 중학교에 가야겠다는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낮의 노동이 끝나면 소년은 책을 꺼내 밤늦게까지 읽었다. 혼자 공부하는 소년을 보며 아버지의 마음도 차츰 눅어졌다. 어머니는 그의 든든한 교육 후원자가 되었다. 고향의 명문 중학교 입학시험 문턱은 높았다. 어지간히 공부했다간 낙방하기 십상이었다. 이웃에 사는 선생님의 배려로 소년은 초등학교 6학년을 다시 다녔다. 담임선생님의 후의를 평생 잊지 않고 살았다. 소년은 중학생이 되었다. '미국 25시'를 접했고 미국 유학을 하겠다는 새로운 꿈을 꾸었다.



그날 교수의 강의를 들은 청중은 딱 한 명. 그의 강연을 듣기 위해 열네 살 시골 중학생이 상경했다. 교수는 단 한명의 어린 청중을 위해 두 시간 동안 묻고 답하기 강연을 열정적으로 펼쳤다. 언론법의 세계적 권위자인 염규호 교수였다. 염 교수는 오래 전부터 '세계 속의 한국지성'으로 언론에 널리 소개되었다. 미국 남일리노이 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예일대와 옥스퍼드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미국의 가장 저명한 언론법학자 해리 스톤사이퍼는 염 교수를 "나의 제자 중에서 가장 똑똑하고 가장 열심히 공부한 학생"이라고 자서전에 썼다. 스승을 기리기 위해 염 교수는 아들의 이름을 해리라고 지었다. 스승의 이름으로 수여하는 언론법 연구상을 위해 염 교수는 기금을 만들었다.

염 교수는 4천명 가까운 미국 저널리즘 교육자와 실무가들로 구성된 미국언론학회(AEJMC) 회장을 역임했다. 염 교수는 오리건 대학 조나단 마샬 수정헌법 제1조 첫 번째 교수다. 염 교수의 논문은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등 여러 나라의 대법원 판결에 인용되고 있다.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려는 세계 각 국의 변호사들이 재판 자료에 염 교수의 논문을 인용한다.

며칠 전 서울에서 열한 번째 한국법률가 대회가 열렸다. 행사를 주최한 한국법학원장은 염규호 교수를 초청해 그의 논문발표를 듣게 된 것이 이번 대회의 가장 큰 성과라고 소회를 밝혔다. 염 교수는 논문에서 '파리 한 마리를 잡으려고 대형 쇠망치를 쓰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고 우려했다. 잊혀질 권리나 가짜 뉴스 운운하면서 표현의 자유를 옥죄려는 유혹이나 압력이 가해질 때 한국의 입법자들이 아주 특별한 자기 절제력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염 교수는 그의 고국이 '부분적으로만 자유로운' 나라가 아니라 표현의 자유 보장을 통해 '완전한 민주주의'로 발전하기를 바란다.

염 교수에게 인생은 신나는 도전이다. 염 교수는 무엇을 했느냐보다 어떻게 해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천 명이 아니고 백 명도 아니고 단 한 명의 청중을 위해 혼신의 강연을 하는 일은 보통 사람으로선 언감생심 불가능한 일이다. 세계 석학 염규호 교수는 그 어려운 일을 언제나 묵묵히 그리고 기꺼이 해낸다. 보은을 행하는 사람의 징표다. 아무나 초등학교 6학년을 두 번 다닐 수 없는 일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