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우난순의 필톡

[우난순의 필톡] 어떤 신념

우난순 기자

우난순 기자

  • 승인 2019-07-31 11:31

신문게재 2019-08-01 18면

아베
나이 마흔을 갓 넘긴 사내가 2층 발코니에서 비장한 표정으로 군중을 바라봤다. 옆에는 자신의 사병조직인 '방패회' 회원 4명이 자위대 총감을 인질로 삼고 사내를 호위하고 있다. 일장기가 그려진 머리띠를 두른 사내는 운동장에 모인 자위대원들을 향해 일장 연설을 했다. 전후 헌법 개정과 절대 천황제의 부활을 위해 함께 궐기하자는 내용이었다. 자위대원들은 야유를 퍼부었다. 사내는 자신의 말이 묵살당하자 "천황 폐하 만세!"를 외치며 칼로 자신의 배를 깊숙이 찌른 다음 가로로 그었다. 할복자살이었다. 붉은 피와 내장이 쏟아져나오는 사내의 목을 방패회 회원이 일본도로 내리쳤다. 사내의 이름은 '미시마 유키오'. 일본의 우익 작가로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던 미시마의 이런 극단적인 행동은 어디에서 나온 걸까.

1960년대 유럽은 소위 '6월 혁명'으로 청년들의 정치적 이념이 분출한 시대였다. 일본 역시 격동의 시대였다.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전공투'를 비롯한 학생들과 천황제를 옹호하는 미시마의 철학적 논쟁은 유명했다. 미시마는 군국주의를 꿈꾸며 "일본의 얼을 유지하는 것은 자위대뿐이다. 일본의 피와 전통을 지켜야 한다. 너희들은 사무라이다"라며 천황에게 폭력과 관련된 절대적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도 시대 무사도는 근대 일본 군대의 정신적 원류를 이뤘다. 무사도는 개인의 자유로운 주체성은 인정하지 않았다. 오직 상급자의 명령에 의해 전체의 질서가 유지되는, 이른바 천황의 명령으로 균형이 잡히는 체제다. 일본군이 중일전쟁 때 난징에서 저지른 끔찍한 만행도 이런 연유에서 비롯된 게 아닐까. 자아를 상실한 채 상부의 명령을 받들어 100명의 중국인을 누가 먼저 베느냐하는 시합을 벌인 사건 말이다. 당시 일본 신문들은 젊은 군인들의 잔혹행위를 앞다퉈 신나게 보도했다.



일본인에게 폭력은 곧 미학이다. 사무라이의 칼과 벚꽃은 일본 정신을 상징한다. 동양에서도 보기 힘든 일본의 독특한 전통은 오리엔탈리즘에 젖은 서구인에게 노스탤지어를 불러일으켰다. 인류학자 레비 스트로스나 철학자 롤랑 바르트 같은 이는 일본 전통문화에 경도돼 찬양해 마지 않았다. 친구가 일본 지방 도시에 여행갔을 때의 느낌을 들려준 적이 있다. 거리에 쓰레기 하나 없이 깨끗하고 주택 구조가 집 안이 전혀 안 보이게 돼 있어 사생활을 중시하는 차원을 넘어 굉장히 폐쇄적이라는 인상을 받았다고 했다. 친절하며 사생활을 엄격히 구분하고 타인에게 폐 끼치는 걸 극도로 싫어하는 그들이 대동아공영권을 외치며 아시아의 여러나라를 침략해 살육의 카니발을 저질렀다. 이것이 일본인의 '혼네(속마음)'였나. 일제 강점기를 겪은 나의 부모는 종종 그때를 떠올리며 치를 떨곤 했다. "아이고 못된 놈들, 집안 곳곳을 뒤지며 밥숟가락까지 뺏어갔단다. 징글징글헌 놈들여."

전후 피폐한 일본에게 한국전쟁은 그야말로 경제특수였다. 패망한 일본은 한국전쟁을 자양분 삼아 경제 대국의 발판을 마련했다. 일본이 경제적 번영을 누리는 동안 한국도 고난을 넘어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다. 그런데 일본이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한국에 경제보복을 가했다. 그들의 '혼네'는 한국이 치고 올라온다고 여겨 견제하려는 것이리라. 아베와 일본 우익세력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것을 잊지 않고 있다. 그런데 그런 한국이 북한·미국과 평화 무드를 조성하며 존재감을 과시하자 자칫 동북아 패권 경쟁에서 자국의 입지가 좁아질 것이라고 판단한 모양이다. 한국을 찍어 누르기 위한 아베의 행보가 군국주의의 부활을 꿈꿨던 미시마 유키오를 떠올리게 한다. 일본의 혼에 병적으로 집착한 미시마와 A급 전범 기시 노부스케의 손자 아베. 무서운 신념에 사로잡힌 아베의 그림자에 미시마의 망령이 어른거린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