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세종

남극 대륙붕이 경험한 4번의 빙하기를 밝히다

극지연구소, 40만 년 동안 남극로스해 해양-생물-빙권 상호연관성 규명
김성한 연구원, "세계 바다 미래 모습 예측" 기대

오주영 기자

오주영 기자

  • 승인 2020-07-10 05:07
  • 수정 2021-05-06 18:01
극지연구소

아직은 미지의 세계로 알려진 남극의 고대 역사를 우리나라 연구원들과 외국의 학자들이 복원작업을 하고 있어 흥미를 끌고 있다.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대륙붕에서 과거 40만 년의 기록을 복원해내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남극의 과거 환경을 복원하는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대륙붕 퇴적물에서 과거 수십만 년을 찾아낸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연구지역인 로스해 대륙붕 외곽은 빙하기에도 빙하로 덮이지 않아서 퇴적 기록이 끊이지 않고 비교적 잘 보존돼 있었다.



복원 결과에 따르면, 빙하기에는 남극대륙 빙하가 확장돼 바다를 덮으면서 생물의 활동이 위축돼 바다의 생산력이 줄었고, 바다의 순환도 느리게 일어났다. 반면, 간빙기에는 빙하가 주춤하면서 바다는 활기를 되찾았고 생산력도 증가했다. 고대에도 시기에 따라 기후의 변하가 조금씩은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는 극지연구소와 전북대, 뉴질랜드 빅토리아대가 동동으로 연구팀을 꾸려 기획했다. 공동연구팀은 2015년 국내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로 로스해 대륙붕을 탐사해 해양퇴적물을 취득한 다음, 퇴적물에 남은 시간에 따른 자성의 변화와 생물사체의 골격을 분석해 연대를 설정했다.

남극은 전 세계 바다 생산력의 1/3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 지구적인 해수 순환을 통해 다른 바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 세계 바다를 연구하는 해양학자들이 현재와 과거 남극의 생물-해양 환경 변화에 주목하는 이유이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했을때 이번 연구 결과과 향후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료 활용될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극지연구소의 '과거 온난기의 서남극 빙상 후퇴 및 해양 순환 변화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연구 성과는 지난 1일 국제 학술지 'Quaternary Science Reviews'에 게재됐다.

제1 저자인 김성한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빙하기와 간빙기를 4번씩 겪으면서 기록된 정보가 남극과 세계 바다의 미래 모습을 예측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극지연구소는 극지의 정치·경제적 중요성 증대에 따른 국가 극지활동의 확대와 국제 수준의 극지연구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목적으로 2004년 한국해양연구원(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부설 기관으로 설립된 극지연구 전문기관이다.

 

19873월 한국해양연구소의 극지연구실로 창설된 뒤 19906월 극지연구센터로 확대 개편되었고, 20066월 극지연구본부로 개칭되었다. 200391일 극지연구소로 승격된 뒤 2004416일 한국해양연구원(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로 독립하였다.

 

주요 기능은 극지와 관련 지역에 대한 기초연구 및 첨단 응용과학 연구, 남극과 북극에 건설한 과학기지와 해외 지원사무소 운영 및 연구활동 지원, 국내외 관련기관과 대외협력 및 전문인력 양성, 국내 산학연 극지연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 정부로부터 위임받은 남극조약과 남극환경보호법에 관련된 업무 수행 등이다.

세종=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