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과학
  • 지역경제

20년된 대전열병합발전 노후설비 교체에 '논쟁 뜨거워'

회사 측 "20년 넘은 설비 개선일뿐 신설 아니다"
환경단체.주민 "대규모 발전시설 환경오염 우려"

박병주 기자

박병주 기자

  • 승인 2021-04-04 17:45
  • 수정 2021-04-28 16:34

신문게재 2021-04-05 2면

KakaoTalk_20210404_114613240
대전열병합발전의 복합화력발전소(LNG) 증설을 두고 대전시청 앞에 내걸린 현수막
대전열병합발전(주)이 20년 훌쩍 넘은 노후 설비를 교체 추진하려 하자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사업자는 대규모 설비 투자를 통한 친환경 설비 개체와 안정적 에너지 공급을 주장하고 있지만, 환경단체와 지역민들은 환경오염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는 것.

대전열병합발전은 지난달 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집단에너지 변경허가를 신청했다. 기존 노후화 설비인 증기 터빈 방식에서 복합화력설비를 도입해 발전 용량을 113.15MW 발전기를 495MW 수준으로 개체·증설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지난 1997년부터 지역난방과 산업단지에 열을 공급하는 동안 시설 노후화로 공급 안전과 효율 개선은 물론 향후 경제성 확보를 위해서는 설비 개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업계 또한 통상적으로 발전소는 가동 후 20년이 넘어가면 노후 설비 개선을 위한 대대적 개체는 일반적으로 보고 있다.

열병합발전소 김재홍 부장은 "현재 가동 중인 설비는 30년 전 벙커C유 사용을 전제로 설계된 설비라 노후가 심할뿐더러, 최신 친환경 기준에 맞추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특히 문제 발생 시 약 5만 세대 난방과 23개 기업 운영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 최신 기술을 채택한 천연가스 발전소로 개체 하면 환경에도 크게 도움이 되고, 설비용량은 현 열 수요를 감안한 최소 용량"이라고 밝혔다.

특히 논란이 되는 환경오염 문제에 대해서는 벙커C유를 기반으로 설계·제작된 현 시설을 개선할 경우 친환경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주장이다.

김 부장은 "수도권에는 도심 곳곳에 30곳이 넘는 천연가스 발전소가 있지만, 일각에서 우려하는 환경문제는 거의 없으며 열병합발전에서 생산되는 열과 전기는 모두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므로 에너지 효율도 훨씬 높다"며 "수도권에서는 천연가스 발전소를 도시와 함께하는 사회기반시설로 인식하는 경향도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환경단체와 인근 주민들은 미세먼지와 환경 유해 물질 증가 등의 이유로 설비 개체를 반발하고 있다.

이와 관련 대전시 홈페이지에서 잇따라 민원이 접수됐다. 4일 현재 '시장에게 바란다' 코너에는 LNG발전 증설 반대 의견이 700여 건이 접수됐다.

대전열병합발전 인근 주민들은 LNG발전 증설반대투쟁위원회를 구성해 대전시청 앞에 현수막을 내거는 등 투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환경단체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지난 1일 성명서를 통해 "LNG발전은 석탄하력에 비해 오염물질이 적다는 것이지, 오염물질이 없는 것이 아니다"라며 "소규모 발전을 하는 것도 아니고 500MW급 대규모 발전시설이 도심 한가운데 들어온다면 시민들의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전시 관계자는 "향후 원자력과 석탄발전 가동이 멈추게 된다. 그렇게 되면 지역 내에서 연료 전기 등을 자체 생산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지역의 안정적 에너지공급을 위해 노후에 따른 시설 교체는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모든 에너지가 연소하면 거기에 따른 오염물질은 발생한다. 그런데 이번 설비 개체는 지금보다 오염을 줄이겠다는 것"이라며 환경오염 우려 주장을 일축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