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문학박사 김우영의 문화산책

[문학박사 김우영의 문화산책] 아프리카 사회복지봉사

김우영 작가(문학박사·대전중구문인협회 회장)

김지윤 기자

김지윤 기자

  • 승인 2022-09-05 16:30

신문게재 2022-09-06 19면

김우영 작가사진
김우영 작가
2019년∼2020년까지 외무부 한국해외봉사단 코이카 소속 아프리카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렘 외교대학 한국어교원으로 파견되었다. 주중 강의 마치면 주말에 인근에 사회복지관을 방문 장애인 인식개선에 대한 봉사를 하였다.

아프리카 탄자니아 푸르른 바다를 낀 동인도양에 붉은 남극 햇살이 바오밥(Baobab)나무와 야자수 가지를 풀어헤치고 이른 주말 아침. 모로고시에 있는 장애인복지관(Society of nehoyo mental mehoyo handped yooth po box654)을 찾았다. 복지관에 도착하니 장애인들이 운동하고 있었다.

검은 피부의 얼굴에 비 오듯 땀을 흘리며 목발에 의지한 체 대화를 하는 사람들, 좌로 우로 움직이며 운동하는 사람들, 저마다 신체적 장애를 갖고 있었다. 혼신을 다하며 사는 이들은 장애인(Disabled Friend)이 아니라 의지의 지구촌 친구들(Rafiki)이었다. 그들과 안아주며 짧은 스와힐리어와 영어로 용기를 주었다.



"Usikate tamaa(포기하지 마세요)!" "Fighting!" "Sun power!" "Excellent!"

한국어 봉사자임을 밝히자, 반가운 표정으로 말을 걸어왔다. 즉석에서 한국어 몇 마디를 알려주었더니 금방 큰소리로 따라 하며 자랑스러워한다.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히 계세요!"

"Rafiki Mzima(친구들 건강해요)!" "Sawa, Nzuri(좋아요)!"

장미에 가시가 왜 있냐고 불평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가시에도 장미가 핀다는 걸 감사해야 한다. 이처럼 장애는 예술(art)이며, 천재적 삶의 방식이다. 장애란 뛰어넘으라고 있는 것이지, 걸려 넘어지라고 있는 것이 아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