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모래의 역습

이성만 배재대 교수

이상문 기자

이상문 기자

  • 승인 2023-10-30 10:28
이성만 교수
이성만 배재대 교수
기성세대에게 '모래'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는지 물어보면 예외 없이 드라마 <모래시계>라고 할 테다. 그런데 해수욕장, 어린이 놀이터, 건축 현장 등과 같은 프로젝트에서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정답은 모래다. 고운 모래가 발가락 사이를 간지럽히고 파도가 해변을 부드럽게 어루만지는 그림을 그리며 언제든지 우리는 해변으로 달려간다. 한여름을 넘어 완연한 가을에도 즐기고 싶은 휴가 여행지로 금빛 해변을 찾는 게 꿈이자 현실이다. 가까이는 대천, 멀리는 해운대의 그곳 풍경을 빗댄 이런 시적인 표현도 더 이상 당연한 현실이 아닐 수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안도 눈에 띄게 과거의 자연스런 풍광을 잃어가고 있다. 잃어가는 주된 원인 중 하나가 모래 고갈 때문이라고들 한다. 국토를 아파트로 채우다시피 한 우리네 주거환경만 보더라도 그 원자재가 모래와 자갈이다. 레미콘, 콘크리트 블록, 벽돌, 아스팔트, 시멘트 등 건설 관련 핵심 자재가 모래다. 모래가 콘크리트 재료의 70%나 된다. 그런데 이 많은 모래는 어디서 추출하는 것일까. 강? 바다? 아니면 산? 아무튼 모래와 자갈의 전 세계 연간 소비량은 400억 톤이 넘는다고 한다. 모래는 건설 분야의 독점물이 아니다. 산업분야에 필요한 것이 규사로 불리는 석영 모래다. 고부가가치의 유리, 플라스틱 또는 화학 산업에 중요한 자재다. 이게 태양 전지나 전자 제품 생산에는 불필요하지만, 이들 생산에 필요한 실리콘 원료가 바로 석영 모래다. 이처럼 모래는 우리에게 진정으로 긴요한 주요 자연 자원이다. 그렇다면 모래는 무한 공급이 가능한 것일까? 전문가들은 수세기는 아니라도 수십 년은 가능하다고 본다. 모래와 자갈에 크게 의존하는 건설업에는 기쁜 소식이겠다. 물론 건설업이 모래와 자갈의 생산을 중단하면 경제는 또 다른 뇌관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중국의 남중국해 사랑(?)은 전략적이다. 드러내는 것은 석유 자원 채취와 해상 안보 확보이지만, 감춰진 것은 모래 채굴이다. 중국의 위태로운 부동산 시장을 고려하면 안정적이고 값싼 모래 수급은 안보 이익에도 필수다. 현대의 고품격 주택과 도로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하려면 과소평가될 수 없는 것이 바로 모래다. 세계 어디서나 상황은 비슷하다. 중국은 초스피드로 도시화가 진행된 나라답게 모래도 최대 소비국이다.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 같은 도시는 사막 모래가 건축에는 무용지물이라 매년 수천 톤의 모래를 수입한다. 일부는 인도와 호주에서 선박으로 가져온다. 근래에 사막 모래에서 폴리머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기는 하였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다. 모래 고갈은 생태계에도 위협적이다. 중국의 주요 모래 채굴지 중 하나가 장시성 북부의 포양 호이다. 해마다 겨울이면 수많은 철새들이 날아들고 어종도 풍부한 생태계였지만, 모래 채굴로 그 많던 철새는 떠나고 양쯔 강 고유의 돌고래마저 멸종 위기를 맞았다. 베트남의 메콩 삼각주는 매년 5000여만 톤의 모래 채굴로 침식되어 금세기 말에는 삼각주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판이다. 싱가포르가 이웃 나라, 특히 인도네시아의 여러 섬들에서 모래를 실어 날랐더니 이미 20개 이상의 섬이 사라졌다. 그제야 2007년부터 싱가포르에 모래 공급을 중단했다. 비슷한 현상이 아프리카 해안에서도 진행 중이다. 동아프리카 탄자니아에 위치한 자치령 잔지바르에서는 대륙의 건설 프로젝트에 모래를 공급하면서 지상낙원 같은 해변들이 사라지고 있다. 도시화는 막을 수 없지만, 모래 고갈을 막지 못하면 황금빛 해변도, 건강한 식탁도, 따뜻한 주택도 사라질 것이다. 모래에의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 과소비 방지, 재활용 노력, 사막 모래 활용, 대체 소재 개발 등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우리는 머지않아 모래의 역습으로 신음할지도 모른다.

이성만 배재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