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대전

정흥채 센터장 "대전에서 K혁신신약 개발하자"

30년 노하우 축적... 대전 바이오 생태계 폭발력 갖춰
"바이오혁신신약 특화단지로 탄력 불어넣어야"

이상문 기자

이상문 기자

  • 승인 2024-04-17 17:16
  • 수정 2024-04-17 19:30

신문게재 2024-04-18 7면

KakaoTalk_20240416_11133476
"머지않아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세계 최초의 약) 혁신 신약 개발로 대전에서 글로벌 빅파마가 대거 탄생할 겁니다."

국내 최대 연구개발(R&D) 역량을 갖춘 대전시는 '일류도시' 대전을 견인할 핵심 미래 먹거리로 바이오를 점찍고 K신약 개발 허브를 조성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정흥채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장은 "70여 곳의 신약 개발 바이오테크가 모여 있는 대전은 국내에서 퍼스트 인 클래스, 즉 혁신 신약이 탄생할 수 있는 유일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면서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구 레고켐바이오), 알테오젠 등 선도기업과 앵커기업 역할을 할 머크는 대전을 세계적 신약 개발 중심지로 만들어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전의 바이오 생태계는 빛을 내고 있다.

지난 5년간 기술을 수출해 벌어들인 돈만 해도 무려 17조5000억원에 달한다. 25개 바이오기업 코스닥 상장 등 성공 신화를 써내려가고 있다. 국내 최대 연구개발(R&D) 역량을 갖춘 대전에서 20~30년간 바이오 벤처 생태계 유지되면서 폭발력을 갖게 됐다.

대전 바이오클러스터는 1996년에 옛 한효과학기술원 자리에 모인 16개 바이오벤처기업이 구성한 대덕바이오커뮤니티로부터 태동했다.

대전시는 2005년 대전바이오벤처타운 건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지원을 시작했으며,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바이오의약, 체외진단, 바이오소재 분야를 특화했다. 그 중심에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가 있다. 정 센터장은 "바이오 신약은 만드는 과정이 힘들다.

연구개발부터 임상 테스트까지 수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그런 엄청난 지식이 쌓여야만 새로운 약을 만들 수 있다"면서 "대전이 전국에서 유일할 것이다. 대학과 연구 중심 국가기관, 민간 연구소 등이 밀집해 300여개 바이오헬스 기업들이 교류를 하면서 함께 성장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센터장은 공간과 인력, 자본 등 3가지 측면 지원을 강조했다.

그는 "바이오 벤처 시작 단계에서는 공간과 많은 고정 비용, 숙련된 인력 등이 필요하다"면서 "실험 연구를 위한 고가의 공용기기 장비를 지원해 주고, 인력에 대한 트레이닝을 적극적으로 도와줘야한다. 또한, 많은 투자금액이 필요한 만큼 이를 연계해주고,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바이오 산업의 성장에는 원활한 연구재료 공급, 해외 학술·시장정보 확보, 해외 마케팅·네트워크 강화를 뒷받침할 공용 플랫폼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 같은 맥락에서 대전이 유치한 글로벌 제약회사 머크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정 센터장은 "머크사가 대전을 선택한 것은 연구개발 역량과 인력 집적화 등 대전의 바이오 생태계 때문"이라면서 "머크사가 소부장 역할을 통해 바이오의약품 환경을 잘 만들어 낼 수 있다. 대전의 바이오기업들이 연구개발한 제품을 생산, 판매까지 연결해 줄 수 있는 역할을 해줄 수 있다"고 기대했다.

정 센터장은 바이오 혁신신약 특화단지 대전 유치를 희망했다. 그는 " 과학벨트 거점지구인 신동·둔곡지구와 원촌동 대전하수처리장 이전 부지를 활용한 첨단 바이오클러스터, 탑립·전민지구에 '혁신신약전략지원 운영센터'를 설치하는 등 신약 개발을 위한 바이오 산업 집적화를 준비 중"이라면서 "바이오 혁신신약 특화단지가 대전에 유치되면 고부가가치인 혁신 신약 개발에서 성과를 이뤄 대전은 물론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