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솔산 월평공원에서 발견된 세 개의 수직갱도 중 하나. 일제강점기 금광 개발지로 확인됐다. /사진=임병안 기자 |
대전 서구 월평공원과 도솔산에서 발견된 수직갱도와 동굴이 1933년부터 채굴을 시작한 금과 은 광산인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총독부가 1943년 발행한 조선광구일람에 '유성금산(儒城金山)'이라는 광산이 등재됐는데 당시 지명으로 대덕군 유천면과 기성면에 광산이 있다고 소개돼 지금 수직갱도 발견 위치와 일치한다.
유성금산 광산은 금과 은을 채취할 목적으로 1933년 개광 허가를 받았고, 광업권 신고 면적은 50만4390㎡(15만2578평)에 이르렀다. 중도일보가 그동안 현지 주민조사를 통해 이 일대가 오래전부터 '금정골(金井)'이라고 불렸을 정도로 광산에서 금이 많이 나왔으며, 동굴형 갱도 안에 우물처럼 수직으로 떨어지는 또 다른 갱도가 있다는 증언을 수집했는데, 조선총독부 문헌을 통해 조선제련의 금 광산이 이곳에 실존했던 게 확인된 것이다. 조선제련의 이곳 금 광산이 언제 폐광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었으나, 대전시가 보유한 1950년 항공사진에서도 민둥산에 채굴 시설물이 발견되지 않는 것을 보아 그 전에 문을 닫은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제련은 조선총독부가 식민지 산업·금융 지배 일환으로 설립한 조선식산은행에 의해 1936년 설립됐고, 서천 장항제련소를 직접 운영하며 조선의 금과 은을 일본으로 수탈한 대표적 기관이다. 그런 조선제련이 대전에 금 광산을 직접 개발한 현장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여기서 캐낸 광석을 호남선 철도를 활용해 장항제련소까지 운반해 금과 은을 녹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솔산 월평공원에서 발견된 동굴형갱도 모습. 일제강점기 조선제련의 금광으로 확인됐다. /사진=임병안 기자 |
정해경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는 "광구의 규모는 충남에 있던 일반 광산보다 작으나 조선제련이 직접 금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당시에는 상당히 중요한 광산이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