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2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부 제공. |
3월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2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 61세대로, 전월(7만 2624세대)보다 3.5% 감소했다.
충청권에선 충남을 제외하곤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먼저 대전은 2001세대로 전달(2095세대)보다 94세대(4.5%) 줄었으며, 충북은 2404세대로 전월(2491세대)보다 87세대(3.5%) 감소했다. 반면, 충남은 4921세대로 전월(3929세대)보다 992세대 늘었다. 이는 25.2% 늘어난 수치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은 감소했지만, 준공 후 미분양은 오히려 늘었다.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2만 3772세대로 전월 대비 3.7% 증가했다. 이는 2013년 10월(2만 3306세대) 이후 11년 4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이중 지방 물량(1만 9179세대)이 전체의 81%를 차지했다.
충청권을 보면, 충북에서 악성 미분양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충북의 준공 후 미분양은 565세대로 전월(403세대)보다 162세대 늘었다. 이는 40.2% 늘어난 수치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반면, 대전은 580세대로 전월(582세대)보다 2세대 줄었다. 대전의 경우 2021년(311세대), 2022년(357세대), 2023년(436세대), 2024년(553세대)까지 꾸준히 늘다가 올해 1월 582건으로 정점을 찍고 감소했다. 세종은 55세대로 전월(57세대)보다 2세대 줄었다. 세종은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17개 시·도 중 가장 적었다.
충남의 준공 후 미분양은 1157세대로 전월(1135세대)보다 22세대(1.9%) 늘었다. 충청권에선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평균보다 밑돌았다. 물량별로 보면, 대구(3067세대), 경북(2502세대), 경남(2459세대), 전남(2401세대), 부산(2261세대), 경기(2212세대) 순이었다.
아파트가 지어진 뒤에도 분양하지 못한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 경기 불확실성을 늘리고, 부동산 침체를 유발하는 등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국토부 관계자는 "세제 혜택 등의 지원책으로 준공 후 미분양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