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교란생물 확산… 왜?

인공조형물 하천 덮고 조경정책 외래종 선호 고유종의 서식처 파괴 주범…큰 무리 이뤄 생물 다양성 저해

임병안 기자

임병안 기자

  • 승인 2015-07-26 16:55

신문게재 2015-07-27 6면

[월요포커스] 생태계 교란생물 확산… 왜?

▲ 대전과 충남·북에서 서식하는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가시박, 미국쑥부쟁이, 큰입배스, 붉은귀거북.
▲ 대전과 충남·북에서 서식하는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가시박, 미국쑥부쟁이, 큰입배스, 붉은귀거북.
생태계 교란생물이 대전과 충남·북에서도 쉽게 확산된 데는 하천을 인공조형물로 덮는 개발과 외래종 일색의 조경정책이 촉매제가 됐다는 지적이다.

지역에서 환경부 지정 생태계 교란식물이 발견되는 곳의 공통점은 인위적으로 개발된 하천과 그 주변이라는 점이다.

자연 상태의 하천을 사람이 오갈 수 있는 곳으로 개발하면서 공사 후 황폐화된 곳에 가장 먼저 뿌리 내리고 성장하는 게 외래종으로 알려졌다.

자연하천의 기존 생태계가 개발로 인해 무너진 후 인공조형물 사이 황폐화된 흙에서 가시박과 돼지풀 등 생태계교란종이 선점하고 큰 무리를 이뤄 그 지역 식물의 대다수를 이루는 종이 된다.

또 흰 꽃말의 서양등골나물과 뿌리가 1m까지 자라는 털물참새피 등 교란종은 다른 식물의 생육을 방해하고 무성하게 자라 토종 식물의 퇴화와 고사를 초래한다.

유진수 금강유역환경회의 사무처장은 “4대강 사업의 개발지역이나 도심 하천 모두 인위적으로 개발된 이후 외래종의 대규모 군락지로 전락하고 있다”며 “바람이나 강물을 통해 씨앗을 퍼뜨려 하천 주변에 왕성하게 자라나 결과적으로 식생을 단순화시켜 생물 다양성을 저해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가시박은 덩굴성 일년생 식물로 한 주당 종자가 400~500개씩 달리고, 인근 수목과 농작물을 감고 올라가 광합성을 저해시켜 결국 고사시켜 최우선 경계 대상이다.

공원과 하천 등 조경사업에서 지자체가 앞장서 외래종을 선호하는 경향도 문제로 지적된다. 꽃이 크고 화려하며 대량생산돼 저렴하게 국내에 들어오는 외래 식물이 공사를 마무리하는 조경사업에 사용돼 곳곳에 인위적으로 식재되는 실정이다.

최수경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는 “얕게 자라는 고유 식물이 높고 무성하게 크는 외래종에 덮여 생장할 수 없어 고사하거나 쇠락해 우리의 꽃과 풀을 수목원에서나 볼 수 있게 됐다”며 “외래종을 무분별하게 조경 작목으로 선정하거나 하천을 인위적 시설물로 만들면서 고유종이 자랄 서식처가 파괴된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