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4차 산업혁명 핵심 주체가 지역대다

최충식 기자

최충식 기자

  • 승인 2017-09-21 16:13

신문게재 2017-09-22 23면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설치되지만 정부 주도로 '혁명'이 되기 어려운 부분이 적지 않다. 정부나 공공섹터와 민간의 인식차가 크다. 혁신 생태계와 플랫폼 구축에서 대학의 역할이 경시되는 점은 더 문제다. 국공립대 프레지던트 서밋 등에서 주제가 되긴 했지만 추상적 개념에 머물러 있다. 21, 22일 이틀간 열리는 6개 지역중심국립대의 연합심포지엄에서 한층 구체화된 방안이 나오길 기대한다.

심포지엄에서 강조된 대로 성패는 혁신생태계 구축에 달린 것이나 다름없다. 그런데 복잡성에 대한 인식이나 민간 투자 유도 등 뚜렷한 대안 없이 신산업 수출과 일자리 해소에 성급히 초점을 맞추는 등 매우 근시안적이다. 4차 산업혁명 등장으로 대학 역시 존립이 위협받긴 마찬가지다. 다른 이름인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미국의 산업인터넷 전략, 중국의 중국제도 2025, 일본의 로봇 신전략도 대학이 제일 앞서 이해해야 한다. 대학이 선도적으로 나서야 할 명분 하나는 대학을 위해서다.



변화 주도의 몫은 특정 위원회나 과학기술 총괄부처인 정보통신과학기술부만이 아니다. 지역중심대학이든 거점대학이든 체질 개선은 필수사항이다. 그 전에 미래사회 수요 기반에 대비해 초·중등 교육부터 육성해야 한다. 미래 핵심역량은 열린 융합학습체계 없이 어느 날 한꺼번에 양성되지 않는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요소가 곧 교육시스템이다. 대학교육정책이 뿌리부터 혁신해야 하는 이유다.

지역 국립대는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계·소통하면서 교육방법, 교육 경쟁력, 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 기초원천 분야와 특정산업 기반 역할 분담조차 모호한 상황에서 대학 연합체가 할 일이 있고 각 대학 특성에 맞는 고유모델이 따로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일은 지역중심국립대만이 아닌 전문대를 포함한 모든 지역대의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