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32. 인과응보(因果應報)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김의화 기자

김의화 기자

  • 승인 2020-01-15 00:00
[테레즈 라캥]은 에밀 졸라가 썼고 박이문이 옮겼으며 문학동네에서 출간했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자연주의 소설가 에밀 졸라의 작품인 [테레즈 라캥]은 여 주인공 테레즈와 그의 시어머니 라캥의 이름을 따서 작명했다.

에밀 졸라가 1867년에 펴낸 첫 자연주의 소설로, 그에게 작가로서의 명성을 안겨주었다. 이 소설은 파리의 퐁네프 파사주를 배경으로, 불륜과 살인이라는 선정적인 소재를 다루었다.

그래서 출간 당시엔 큰 논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1860년대 파리. 어렸을 때 고모인 라캥 부인에게 맡겨진 테레즈는 병약한 사촌 카미유와 함께 자란다. 라캥 부인은 건강한 테레즈가 자신이 죽은 후에 카미유를 돌봐줄 거라고 생각해 둘을 결혼시킨다.



카미유와 라캥 부인은 안정된 생활에 만족하지만 테레즈는 자신 안에 숨은 야성과 욕망을 채우지 못해 무료해한다. 그러던 중, 테레즈는 어린 시절부터 카미유의 친구였던 로랑을 만나 서로의 육체적 욕망을 채우는 관계가 된다.

두 사람은 자신들의 불륜이 들통날까봐 항상 두렵다. 그래서 카미유를 센 강에 빠뜨려 살해하고 결혼까지 한다. 하지만 밤마다 카미유의 환영에 시달리던 그들은 서로를 미워하게 되는데 그 과정의 묘사가 정말 리얼하다.

중풍에 걸린 라캥 부인은 테레즈와 로랑 부부가 자신의 아들을 죽였음을 알지만 어찌 손을 쓸 수조차 없다. 테레즈와 로랑이 살인자라며 어찌어찌 겨우 손가락으로 글을 몇 자 썼지만 지인들은 이를 간파하지 못한다.

살아있는 게 지옥에 다름 아닌 라캥 부인에게 서서히 희망과 반전의 햇살이 드리운다. 테레즈와 로랑이 자는 침대에까지 죽은 카미유의 환영이 매일 들이닥치는 때문이다.

그들은 이로 말미암아 극도의 신경쇠약과 반목으로 치닫는다. 아내에게 돈을 요구한 로랑은 창녀들과 잠을 자는 등 극도의 문란한 생활을 시작한다. 그러나 거기에서도 만족을 느낄 수 없다.

테레즈 또한 풍기 문란으로 노류장화(路柳牆花=아무나 쉽게 꺾을 수 있는 길가의 버들과 담 밑의 꽃이라는 뜻으로, 창녀나 기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처럼 몸을 함부로 굴린다.

그렇지만 그녀 역시 과거완 사뭇 달리 그 어떤 욕정도 채울 수 없다. 결국 로랑은 청산가리를 훔쳐 테레즈가 마시는 설탕물에 섞고, 테레즈는 부엌칼을 시퍼렇게 갈며 서로를 죽이려 작심한다.

이를 눈치챈 라캥 부인은 그들이 죽는 모습을 보고 자신도 죽으면 여한이 없겠노라 기도한다. 서로를 죽이려는 음모를 알아챈 테레즈와 로랑은 결국 독약이 든 컵을 나눠 마시며 생을 마감한다.

인과응보(因果應報)에 다름 아니었다. '인과응보'는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을 뜻한다.

이 소설은 2014년에 개봉된 위험하고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박찬욱 감독의 영화 '박쥐'의 모티브가 된 작품이다. 지난 1월 1일 해돋이를 보러 간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다.

그중엔 울산의 간절곶까지 간 분도 있을 듯 싶기에 간절욱조조반도(艮絶旭肇早半島)라는 구절을 동원한다. 이는 '간절곶에 해가 떠야 한반도에 새벽이 온다'는 뜻이다.

그래서 하는 말인데 테레즈와 로랑의 예정된 비참한 최후를 이에 견주자면 '테레즈 로랑 비극'으로 하면 되겠다. 이는 '간부(姦婦) 테레즈에 로랑이라는 파렴치범이 겹치니 비극은 예정대로 왔다'는 의미다.

"타인의 죄는 우리들의 눈 앞에 있고, 우리들 자신의 죄는 우리들 등 뒤에 있다"고 한 세네카의 말이 달리 나온 게 아니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