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교육
  • 사건/사고

"수류탄 던지지 않아" 군 신병 훈련 중 폭발 사고 (종합2보)

세종시 육군 32사단 신병교육대서 발생
2014년과 2015년에도 훈련 중 폭발사고

정바름 기자

정바름 기자

  • 승인 2024-05-21 17:36
  • 수정 2024-05-21 20:08

신문게재 2024-05-22 6면

국군 대전병원
21일 육군32사단 신병교육대대에서 수류탄 투척 훈련 중 수류탄 폭발사고가 발생해 훈련병, 간부 등 2명이 국군대전병원으로 이송됐다. 사진은 이날 국군대전병원 응급실 모습. /사진=정바름 기자
군 신병 교육 중 수류탄 투척 훈련 과정에서 폭발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끊이질 않고 있다.

2014년과 2015년 잇단 사고로 수류탄 투척 훈련이 중단됐다가 2019년에 재개됐지만, 올해 세종에서 신병 교육 중 사고가 발생하면서 안전에 대한 우려가 또 다시 나오고 있다.

21일 육군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0분께 세종시에 있는 육군 32사단 신병교육대대에서 수류탄 투척훈련을 하던 중 수류탄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20대 훈련병과 훈련을 지휘하던 30대 소대장(상사) 등 2명이 국군대전병원으로 긴급 후송됐다. 훈련병은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고, 소대장은 손과 팔 등을 다쳤으나 의식이 있는 상태다.

수류탄 안전핀을 뽑은 훈련병이 수류탄을 던지지 않고 손에 들고 있자, 지켜보던 소대장이 이를 제지하는 과정에서 수류탄이 그대로 폭발한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이날 전체 교육 대상 훈련병은 235명으로, 상당수 훈련병이 사고를 목격했고 다음 주 6주간의 훈련을 마치고 수료식이 예정돼 있다.

군 수류탄 투척 훈련 중 사고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2014년 9월 경북 모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 수류탄 폭발로 훈련병 1명이 사망했다. 1년 뒤 2015년 9월 대구 모 육군 신병교육대에서 수류탄 투척 훈련 중 폭발 사고로 교관 1명 사망하고 훈련병 등 2명이 부상 당했다. 2014년, 2015년 사고의 경우 훈련병이 수류탄을 던지려고 손으로 잡고 있던 도중 갑자기 터진 것으로 알려졌다.

1998년 5월에도 육군 32사단 신병교육대에서 훈련 도중 수류탄이 터져 2명이 사망, 4명이 부상 당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올해 사고를 포함해 확인된 장병 훈련 교육 중 수류탄 폭발 사고는 7건에 이른다.

군은 2015년 수류탄 투척 훈련을 중단하고 실제 수류탄이 아닌 연습용 수류탄으로 대체했으나, 2019년에 훈련을 재개했다. 실전에 대비하려면 실제 수류탄을 투척한 경험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때 군은 수류탄 격발이 이뤄질 경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안전 식별장치를 부착하고 수류탄 안전손잡이 길이를 늘리는 안전을 보강했다. 또 2020년에는 안전핀을 뽑더라도 바로 폭발하지 않도록 하는 신형 수류탄을 개발해 보급했다. 하지만, 2014년과 2015년에 발생한 두 차례 폭발 사고에 대해서는 정확한 사고 원인을 찾아내지 못했다.

이날 사고 직후 육군은 사고 원인이 규명될 때까지 연습용 수류탄을 사용해 훈련하도록 전 부대에 지시했다.

육군 관계자는 "사망한 훈련병의 명복을 빌며 사고 현장에 노출됐던 훈련병들의 심리적 안정을 돕기 위한 정신건강팀도 운영하고 있다"며 "민간경찰과 함께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하겠다"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