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대전

"새 구장명에 대전 넣자" 대전시 한화에 재촉구

市, 연고지 병기 공문보내 공식요청
중도일보 연속보도, 여론 지지 동력
이글스 "시민의견 경청…" 내부논의
대전충청 팬 사랑 한화 의리 보여야

이상문 기자

이상문 기자

  • 승인 2025-01-15 17:08

신문게재 2025-01-16 1면

20250115-완공 앞둔 야구장
대전시가 혈세 1438억원을 투입해 건설한 프로야구 한화이글스 신축구장 전경. 한화는 명명권을 갖고 있다는 이유로 신축구장 간판에서 '대전'을 잠정 빼기로 하면서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대전시는 신축구장명에 연고지 병기 요청을 다시했고 한화도 내부 논의에 착수했는데 최종 결단이 주목된다. 사진=이성희 기자
<속보>=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신축구장에 '대전'을 빼기로 한 것에 대해 지역 여론이 들끓자 대전시가 연고지명 병기를 공식 요청했다.

한화이글스 발(發) '대전 패싱' 논란에 행정당국이 강력 대응에 나선 것으로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에 맞은 것이다.

대전시와 여론의 압박에 한화이글스도 사실상 구장명 재검토에 들어갔다. 한화가 대전 충청과 40년을 동고동락한 대전에 대한 '의리'를 보여줄지 주목된다. <중도일보 1월 13, 14일 1면 등 보도>



15일 대전시와 한화 이글스에 따르면 전날 대전시가 이글스 구단에 신축구장 명칭에 '대전'을 넣어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대전'이 빠진다는 중도일보 연속 보도에 "대전시와 팬을 무시한 처사"라며 지역 여론이 크게 출렁였고, 지역연고제 근간을 흔드는 일이라며 사안이 일파만파 확산된 지 3일 만이다. 안일한 행정으로 질타를 받았던 대전시가 다시 전면에 나서면서 이글스가 대승적 결단을 내릴 지 관심이 쏠린다.

대전시 관계자는 "시즌이 임박해 구장명칭 사용에 대해 한화 입장에 동의 의사를 전달했었지만, 지역 여론이 움직이고 있어 한화에 다시 한번 요청을 했다"면서 "타 지역 모두 구장 명에 지역연고를 넣고 있는 만큼 '대전'이 꼭 들어갈 수 있도록 협의를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글스는 "시민들의 의견을 귀담아 듣고 있으며, 내부 논의를 지속 중"이라고 말했다.

관건은 구장명 네이밍 스폰서인 한화생명에 동의 여부가 될 전망이다. 정규 시즌 개막이 두달 가량 남은 가운데 지역 여론을 감안한 신속한 의사결정에 필요해 보이는 시점이다.

실제 이글스는 1999년 첫 우승 이후 25년간 우승 반지를 끼지 못하고 있다. 최근 10여년 간 최하위권을 맴돌면서 암흑기를 갖기도 했다. 계속된 패배와 꼴찌 팀이라는 불명예에도 한결같이 응원을 한 팬들의 성원을 기억해야 한다는 여론이 감지된다.

지난해 류현진 선수의 복귀와 몇년 간 좋은 선수 자원을 확보한 이글스는 신축구장에서 '포스트시즌' 진출을 넘어 우승이라는 원대한 여정을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연고 팬들과 일치 단결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임을 인식해야 한다. 구장 명에 집착해 지역사회와 팬의 민심을 잃어버리는 실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신축 구장은 대전시가 예산을 들여 지은 대전시 소유 건물로, 사업비는 2074억원이다. 한화는 486억원을 내고 25년간 구장 사용권과 명명권, 광고권 등을 받기로 했다. 하지만, 대전시민 세금이 1438억이나 들어갔다. 시민들이 납득 할 수 있는 명분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대구나 광주처럼 신축 구장 건설 협약 과정에서 지역명 사용을 약속하지 않은 대전시의 일차 책임도 있지만, 그렇다고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구장 명에 '지역'명이 들어가지 않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당위성이 힘을 받고 있다.

더구나 단순히 구장 명 '대전' 병기 문제를 넘어, 지역 연고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기면서, 지역과 구단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일로 야구장에서 1인 시위를 준비 중이라는 조종국 한화 이글스 전 후원회장은 "후원회장으로 20년을 활동했는데 한화의 지역연고 무시 소식에 분통함을 느꼈다"면서 "대전이라는 명칭이 부끄러운가. 대전에 터를 잡고 창단한 것 아니냐. 창단 초심을 잃어버리면 안된다"고 힘을 줬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