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학교공간혁신은 수업이다

김은주 솔빛초 교감

고미선 기자

고미선 기자

  • 승인 2020-09-24 19:06
  • 수정 2021-06-24 13:52

신문게재 2020-09-25 18면

김은주 교감선생님
김은주 솔빛초 교감
오래전 우리 집의 구조, 가구, 색채 등이 눈에 들어온 것이 공간에 대한 관심의 시작이었다. 또한, 학교의 페인트 색감, 교장실, 교무실의 소파, 학교가구, 복도의 냉난방 등이 불편한 시선으로 이어졌다. 그런 시선이 학생들도 현관에서 실내화로 바로 갈아 신을 수 있는, 우산을 바로 꽂을 수 있는 일로 이어졌다. 학교는 학생이 존중받는 공간이어야 하고, 공공성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하지만, 지금까지 많은 학교의 신발장은 복도 4층에도 있고, 교실 앞 우산꽂이까지 물방울이 이어져도 불편함을 제기하지 않았고, 우리는 모두 불편함에 많이 익숙했었고, 학생들의 일상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배려를 하지 못했다.

학교공간혁신은 학생, 교사, 학부모가 설계과정에 참여해 다양한 학교공간을 함께 만들어가는 사업이다. 자발성, 민주성, 공동체성을 기르고 시민을 길러내는 것이 혁신학교인 솔빛초의 과제였고, 2019년 3월 개교와 더불어 학교 공간을 잘 가꿔야 한다는 고민과 갈증이 더해졌으며, 학교공간혁신 공모사업 이전에 '놀이터 재구조화 TF팀'의 놀이 공간 기획이 학교공간혁신과 맞물려 함께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학교규정 만들기' '교가 만들기 프로젝트' 등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학교공간혁신 제안이 뜻밖의 어려운 일이 아니었고, 모두 다 개교학교에 전학 온 학생들과 전입교사들에게 공간수업을 준비하고 생각을 모으는 과정은 '우리 교실, 우리 학교'를 함께 만들어가는 좋은 구심점이 되었다. 학습, 놀이, 쉼, 어울림의 공간 만들기를 목표로 이해하기, 탐험하기, 상상하기 등 14단계에 걸친 과정에서 학생들의 시선에서 관찰하고, 의미 있는 발견지점을 찾는 다양한 공간수업의 경험이 구체화되어 디자인으로 완성되었다.



솔빛초에서 주목한 공간은, 중앙현관, 학년별 넓은 복도, 아트홀 모두 3곳, 1순위로 중앙현관이 선정된 후, 2순위, 3순위 공간까지 한정된 사업비에서 담아낼 수 있었던 것은 교직원의 끝없는 회의와 건축사님의 제안과 공사업체의 노고였다. 다만 1층부터 4층까지 6개나 되는 학년별 넓은 복도에 사업비를 나누다 보니 많은 것을 담아주지 못했고, 학생들이 가장 원했던 아트홀의 미끄럼틀, 미니암벽 설치는 안전 문제로 시공과정에서 변경하게 된 점이 가장 큰 아쉬움이었다. 2019 세종꿈마루 첫 사업 기간 6개월, 공간수업의 시간부족 등 빠듯한 일정 속에서 이루어졌으나, 이 과정을 통해 공간주권과 민주주의를 경험했고 완성된 '솔빛마을, 솔빛마루, 솔빛쉼터, 솔빛놀숲' 은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공간이 되었다.

학교공간혁신사업은 공동체 모두가 참여하고, 수많은 의사결정을 해야 하고, 상상력과 생각을 끌어내는 특별한 경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시작단계에서 '학교공간혁신은 리모델링이 아니다' '학교공간혁신은 수업이다'라는 개념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았을 때 어려운 점이 많았지만 고민하는 과정 속에서 모두가 공간혁신 철학을 이해했고 한걸음 성장한 것을 느꼈다. 학교공간혁신사업은 무엇보다도 학습과 놀이, 휴식 등 균형 잡힌 삶의 공간으로서 학교 만들기에 참여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고, 학교 공간을 바꾸는 놀라운 결과를 가져왔으며, 공간혁신이 곧 교육혁신의 과정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 과정을 경험하고, 이 공간을 사용한 학생들은 분명 다른 문화적 소양을 갖게 될 것이다. 학교공간혁신사업 종료 후에도 수업과 일상에서 하고 싶은 일을 고민하고, 같이 해결하고, 아이디어와 생각을 실행으로 옮기는 활동이 필요하다. 이런 수업과 이런 활동을 위해서 '이렇게 교실을 바꾼다거나' '가구나 집기를 재배치하거나' '벽면을 재구성한다거나' 그것이 수업으로 이어가기를 바란다.

/김은주 솔빛초 교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