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자사고 해법,미적거리면 안 된다

  • 승인 2014-12-16 18:48

신문게재 2014-12-17 19면

대전의 자립형 사립고(자사고)가 추가 모집에서도 신입생 미달을 면치 못하고 있다. 무려 107명이 미달된 학교가 있다 한다. 입학경쟁률만이 자사고의 대표적 지표가 될 수는 없겠지만 우려스럽다. '높은 기대치에 미치는 못하는 만족도'가 이보다 하락하기 전에 자사고 정책에 손질이 필요해 보인다.

정원 모집 미달은 우선 학교 운영난으로 직결될 수 있다. 인건비나 운영비 등을 지원받지 않고 자체 충당해야 하는 자사고의 특성 때문이다. 서울은 올해 자사고 재지정 취소 논란 속에서도 지난해보다 지원자가 늘었다. 일반전형 신입생 경쟁률이 1.66 대 1을 기록한 서울과는 확실히 대조적이다. 이 한 가지로 자사고 정책의 성패를 말하거나 교육 생태계에 적응하지 못한다고 단정하기에는 아직 성급하다. 그러나 이것이 악순환의 고리가 되지 않아야 한다.

상대적으로 대전지역 학생이나 학부모는 자사고가 마땅한 대안이 아니라고 생각한 듯하다. 단순히 말해 반드시 자사고를 가지 않고 일반고를 진학해도 된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다. 실제로 서울의 올해 자사고 지원율 상승은 현재 일반고에서는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지역 자사고 교육의 미래가 불투명하게 비치는 원인, 특히 수요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원인을 가려내야 할 것 같다.

자사고 '비인기'의 스펙트럼은 다양하다. 일부 일반고는 오히려 자사고의 장점을 도입하고 있다. 지역 자사고가 자체적인 교육과정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자사고가 고교 다양화 정책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실제로 가는지도 다시 점검해보는 게 순서다. 교육과정이 국·영·수 중심으로 획일화됐다면 이를 다양화라고 할 수 없다.

교육계 안팎의 더 큰 걱정은 일반고 전출로 인한 인원 감소 사례까지 속출한다는 것이다. 대전시의회 행정사무 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올 9월까지 대전지역 자사고 중도탈락자는 78명이었다. 자사고의 높은 등록금은 서민들이 감당하기 힘들 만큼 높다. 비싼 등록금에 비해 요구를 충족시키는 교육적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이 중요한 결점이라고 본다. 교육 생태계를 무시하고 속도전으로 밀어붙여 준비가 부족했을 수도 있다.

이런 이유에서 자사고가 '교육계의 4대강'에 비유되기도 한다. 자사고가 추구하는 다양성이 뿌리내리지 못하는 데는 입시에 매몰된 교육 풍토 탓도 있다. 학교와 교육당국이 자사고 체질 개선을 다같이 고민해봐야 한다.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 제도나 시스템의 부조화, 이에 따른 한계를 직시할 때다. 더 늦기 전에 만족도를 높이는 근본 해법을 찾아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