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 영화/비디오

추석연휴 덕 좀 본 사극영화는?

2017년 남한산성
2016년 밀정
2015년 사도

박은환 기자

박은환 기자

  • 승인 2018-09-25 17:44
  • 수정 2018-09-25 17:50
매 년 추석시즌은 방학기간 못지 않게 극장가 대목으로 꼽힌다. 성묘나 차례를 마치고 부모님과 함께 극장을 찾는 가족 관객이 많아서다. 다양한 작품속에서도 사극 작품들이 추석 연휴 때 가족 관객들이 많이 찾는 강세를 보였다. 이번 추석에도 '안시성', '명당' 등 2편의 사극영화가 출격했다. 그렇다면 매 년 추석 연휴기간에 덕 좀 본 사극영화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2017년

남한산성
영화 '남한산성' 포스터.
2017년 추석은 10월3일 개천절과 10월9일 한글날 공휴일이 맞물려 최장 9일의 휴일을 쉴 수 있는 대특수를 맞은 시점에 '남한산성'은 추석 전날인 10월 3일 개천절에 개봉했다.



남한산성은 김훈 작가의 원작으로 이병헌은 최명길역, 김윤석이 김상헌역, 박해일이 인조역으로 활약했다. 영화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 갇힌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하기까지 과정을 그렸다.

추석 연휴 기간과 맞물려 개봉 이틀만에 역대 최단기간으로 100만 관객을 넘었으며 개봉 후 4일만에 2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을 이어갔다. 그러나 인물에 초점을 맞춘 전개 방식 탓에 다소 외형적 볼거리는 떨어져 추석 연휴 이후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어지며 손익분기점인 500만 관객에 미치지 못하며 385만명을 누적 관람을 기록했다.

같은 날 개봉한 윤계상의 연기 호평을 받아 688만명을 기록한 '범죄도시' 작품에서 다소 밀렸지만 두 충신의 '썰전'을 통해 현 시대에 대한 메시지를 던진 작품으로 유명하다.

#2016년

밀정
영화 '밀정' 포스터.
2016년 추석 명절은 9월14일에서 16일까지 다소 짧은 일정이였지만 이번년도와 비슷하게 토·일 주말과 함께 최장 5일의 연휴특수를 맞았다.

2016년도 당시엔 세계일보 김동진 기자가 쓴 책 '1923년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을 토대로 '황옥 경부 폭탄 사건'을 중심 모티브로 삼은 것으로 알려진 공유, 송강호 주연의 '밀정'과 김정호의 이야기를 그린 '고산자, 대동여지도'는 차승원이 김정호 역할을 맡으며 추석 연휴 일주일 전 9월 7일에 동시에 개봉했다.

두 작품 모두 추석 시즌을 겨냥하며 개봉했으나 결과는 밀정이 대승을 거뒀다. 밀정은 개봉 5일만에 200만 돌파를 성공했다. 추석 연휴동안에도 200만명을 더 동원하며 개봉10일만에 400만을 돌파하며 손익분기점 420만을 가뿐히 넘겨 최종 750만명을 기록했다.

반면 고산자 대동여지도는 97만명을 기록하며 손익분기점 320만명에 훨씬 못 미치며 초라한 성적으로 흥행 참패를 맞았다.

#2015년

사도
영화 '사도' 작품.
2015년 추석은 대체휴일과 함께 9월 26일부터 29일까지 4일간의 연휴를 맞았다. 2016년 추석시즌에는 '사도'가 9월 16일 추석 명절 약 2주전에 개봉했다

영화 사도는 학문과 예법에 있어 완벽한 왕이 되기 위해 노력한 영조와 예술과 무예에 뛰어나고 자유분방한 기질을 가진 사도의 가족사를 그린 작품이다. 영조를 그린 송강호와 세자를 그린 유아인의 연기로 관객들의 마음을 흔들어 놓으면서 개봉 4일째 100만, 7일째 200만, 11일째 300만, 13일째 400만의 관객을 기록하며 추석연휴에만 219만명을 불러모았다. 최종 624만을 기록하며 한국 역대영화 59위에 안착했다.

이 외에도 2012년 '광해, 왕이된 남자', 2013년 '관상'도 추석연휴 흥행에 한 몫 했다.

우연히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에서 매년 그해의 우수한 영화와 영화인들에게 수여하는 상인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 2015년에는 '사도'가, 2016년에는 '밀정', 지난해에는 '남한산성' 등 추석연휴를 강타한 사극 작품들이 최우수작품상의 영예를 안는 쾌거를 안았다.

추석연휴를 맞아 관람객 흥행을 이루고 있는 '안시성'과 '명당' 등의 작품이 25일 현재 각각 200만명, 10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다가오는 11월에 개최될 '2018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 연휴기간 덕 좀 본 사극작품이 올해에도 수상으로 이어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은환 기자 p0109972531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