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오상고절, 국화 옆에서

윤여환 충남대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이상문 기자

이상문 기자

  • 승인 2019-06-12 11:07

신문게재 2019-06-11 22면

윤여환 충남대 교수
윤여환 충남대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국화가 꽃이 지고 긴 동토의 터널을 지나면 매화가 꽃을 피우면서 봄이 온다. 매화가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꽃이라면 국화는 한 해를 마무리하는 꽃이다.

북송 때 시인 소식(蘇軾)은 겨울풍경(冬景)이라는 시에서 국화는 시들어도 서리를 이겨내는 가지가 있다(菊殘猶有傲霜枝)"라고 했고, 조선시대 시조시인 이정보(李鼎輔)도 '해동가요'에서 뭇 꽃들이 다 지고 난 늦가을에 심한 서릿발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고고하게 피어나는 국화의 모습을 보고 오상고절(傲霜孤節)이라 하였다.

가난한 선비였던 동진(東晉)의 전원시인 도연명(陶淵明)은 호구지책으로 천성에 맞지 않는 관직에 몸 담았다가 80여일만에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귀거래사'를 쓰면서 소나무와 국화를 벗하며 살았다. 그로 인해 국화는 군자의 맑은 아취와 높은 절개를 지닌 꽃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래서 소나무와 국화는 도연명의 분신이자 은일의 표상이 되었다. 은군자(隱君子), 은일화(隱逸花)라는 별명은 여기에서 연유한다. 또한 찬 서리를 견디면서 그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 국화의 생태는 길상 또는 상서의 상징으로도 받아 들여졌다.



겸재 정선(謙齋 鄭敾)은 도연명의 시 음주(飮酒) 제5수에 있는 동리채국(東籬彩菊)을 그림으로 재현하였다. 선비의 평상복을 입은 도연명이 소나무가 서 있는 사립문 앞에서 국화를 따다가 남산을 여유롭게 바라보고 있는 그림이다. 한 그루의 노송에서 풍기는 절조와 은일이 도연명의 생애와 잘 어울리고 있다.

서산대사가 남긴 '청허집(淸虛集)'에 보면 '소나무와 국화를 심다(栽松菊)'라는 시에서 소나무와 국화를 심어놓고 색즉시공(色卽是空)의 진리를 설파한다.

국화의 한자인 '菊'의 어원은 곡식을 수확하는 의미와 그해 마지막 꽃(鞠)이라는 뜻도 있다. 당나라 시인 원진의 '국화' 시구절에서 "이 꽃 다 지고 나면 다른 꽃이 더 없네(此花開盡更無花)" 라고 하여 국화를 일년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만추의 꽃이라 하였다.

장례식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꽃이 흰 국화다. 고인의 명복을 비는 경건한 자리에 수많은 꽃 가운데 유독 국화가 헌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화는 신이 만든 꽃 중에 가장 마지막으로 만든 꽃이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생을 잘 마치고 신의 품으로 돌아가 편히 쉬라는 뜻도 지니고 있다. 서양에서의 국화는 저승에 가서 평화롭게 쉬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나온 말이라고도 한다.

유교문화가 지배하던 조선시대에는 장례식에 꽃이 아니라 향을 피우며 명복을 빌었다. 그러나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서구문화가 유입되면서 흰 국화와 검은색 상복이 장례식장에 등장했다. 서양에선 국화가 고결과 엄숙을 뜻하고 검정색은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국화는 예부터 불로장수를 상징하였다. 그래서 장수의 의미를 가진 국화의 다른 이름에 갱생(更生), 장수화(長壽花), 수객(壽客), 부연년(傅延年), 연령객(延齡客)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국화에 기국연년(杞菊延年), 송국연년(松菊延年)이라는 축수의 문구를 부쳐 환갑이나 진갑 등의 잔칫상에 장수를 기원하는 헌화로 많이 사용하였다. 민화에서 괴석사이에 피어있는 국화를 그린 그림은 국화와 바위가 모두 장수를 뜻하기 때문에 고수(高壽)와 익수(益壽)를 뜻하기도 한다.

이렇게 인간은 누구나 무병장수, 불로장생을 원하지만 죽음 앞에서는 그 누구도 예외 일 수가 없다. 국화가 오늘을 사는 현대인에게 던지는 화두는 항상 감사하는 삶을 제시해주고 있다. 들녘 경사진 언덕에 국화 네가 없었던들 가을은 얼마나 적적했으랴고 읊었던 노천명도, 저 푸른 하늘과 태양을 볼 수 있고 대기를 마시며 내가 자유롭게 산보할 수 있는 한 나는 충분히 행복하고 신에게 감사할 수 있다고 하지 않았는가.
윤여환 충남대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