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사라진 풍류, 회갑연(回甲宴)

양동길 / 시인, 수필가

김의화 기자

김의화 기자

  • 승인 2019-11-15 00:00
회갑연은 예순한 살 생일 축하 잔치를 말한다. 평균 수명이 지금보다 훨씬 짧았던 시절, 환갑까지 이루어 낸 수명 보전과 쌓아온 업적을 축하하고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잔치이다. 가가호호(家家戶戶) 차이가 크지만 제법 성대하게 잔치를 벌였다. 다양한 과일과 음식을 높이 괴어 상 차리고 수연시첩(壽宴詩帖)을 만드는 등 제법 격식 있는 풍류를 보여주기도 했다.

필자 조부는 생신이 정월 초하루였다. 생일에는 당신 돈을 쓰지 않는 것이라며, 설 명절임에도 손주에게 세뱃돈을 주지 않으셨다. 손주가 엄청 많았지만 주는 것도 받아본 기억도 없다. 중학교 3학년 때 회갑연이 있었다. 마당에 커다란 차일을 치고 안채 쪽에 병풍을 여러 개 세웠다. 병풍 앞쪽에 교자상, 그 위에 음식을 높이 괴어 놓았다. 모형이 아니라 실제 음식이었다. 상과 병풍 사이에 할아버지 형제가 앉고 자녀들이 절을 올리며 술을 올리는 것으로 잔치가 시작되었다. 3일간 지속 되었다. 마을 잔치요, 일가친척 잔치였다. 장구 하나로 가무를 즐기거나 풍물로 흥을 돋우었다. 일면식이라도 있는 사람은 모두 불러 함께 즐겼던 것으로 기억한다.

한때는 회갑연 다니는 것으로 분주했다. 지인의 부모 모두 찾아뵈어야 하니 그 횟수가 무척 많았다. 집에서 하던 것들이 전문 연회장으로 옮겨지더니, 중요 대사 중 하나이던 회갑연이 슬그머니 사라졌다. 언제부터라고 명확하게 선을 긋기 어렵다. 대략 1997년 금융위기 전후가 아닌가 생각된다. 주위에서 하나둘 회갑연을 하지 않았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크게 축하할 일이 되지 못한 탓이리라. 지금은 대부분 가족끼리 음식을 나누는 것으로 잔치를 가름한다. 이웃끼리 서로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시간 하나가 사라진 아쉬움이 크다.



풍류(風流)는 풍치가 있고 멋스럽게 노는 일을 말한다. 조금은 고상한 유희를 일컫기도 한다. 삼국시대 신라에서는 현묘지도(玄妙之道)라 했다. 인간 본성인 예로 돌아가자는 유교, 아집을 버리고 본성인 불심으로 돌아가자는 불교, 자연의 대 법도를 따라가자는 도교, 이 삼교 사상을 내포한 것으로 풍류도라 하기도 한다. 하느님과 하나가 되어 널리 사랑을 베푸는 일이다. 풍류도를 갈고 닦은 사람을 화랑이라 했다. 화랑은 도의로써 마음을 연마, 가무로써 서로 즐기며 명산대천을 찾아 노닐었다. 남을 교화하기 위한 품성을 지니고, 풍류를 터득하여 대자연과 더불어 교감을 돈독히 하기 위함이다. 고려 시대에는 각종 행사를 통하여 풍류가 나타나며, 조선 시대는 주로 음악과 관련하여 풍류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그러함에도 풍류를 일상의 주요 덕목으로 삼았음이 생활 곳곳에서 나타난다. 풍류를 즐기는 모습이 그림이나 글로 전해진다. 글을 하는 선비도 그림 그리는 것을 품격있고 운치 있는 일로 생각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문인화라는 미술 양식이다. 풍류를 아는 사람은 시(詩)·서(書)·금(琴)·주(酒)를 즐기며 생활의 주요 영역으로 삼았다. 글을 짓고, 쓰고, 노래로 부르며 거문고를 연주한다. 거기에 술을 곁들인다.

품격보다 흥취로 기울기도 하지만, 우리 의식 속에 멋스러움으로 남아 있다. 그런 흔적이 마을 당굿, 어촌의 풍어제 등 각종 제천의식이나 민속놀이로 전해지고 있다. 절기마다 즐기는 놀이를 돌이켜 보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먹고 살기 버거워도 뜨락을 가꾸고 문방사우 늘어놓은 서재에 악기 하나쯤 함께 한다면 그것이 곧 풍류 아니겠는가? 게다가 좋은 벗이 있어 담근 술 한잔 나누며 담소를 나눈다면 더 바랄 게 무엇이랴.

일일이 거명할 수 없지만, 많은 역사학자나 철인들이 환태평양시대 도래를 예견했다. 그 중심국가가 한국이 될 것이란 주장도 곁들였다. 중국의 장구한 중화 정책에도 불구, 한국이 한국으로 존재할 수 있었다는 것은 기적 같은 일이다. 우리만의 빛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놀라운 일이다. 그저 따라 한 것이 아니다. 주변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용해해낸 결과이다. 일본 에게는 중심국가 기회가 있었으나 문화가 아니라 총칼을 앞세워 돌이킬 수 없는 원죄를 지었다. 스스로 문화 중심이 될 자격을 상실했다. 미국은 절정기 이백여 년을 지나고 있다. 우리 대한민국이 문화 중심이 될 수 있다. 그를 이끌어갈 핵심 요소 중 하나가 풍류 아닌가 한다.

어떤 사람은 '김치'가 우리 전통음식이 아니라 퓨전이라 주장한다. 고추가 남아메리카에서 일본을 거쳐 임진왜란 후에 들어왔다든가, 조선 말에 중국으로부터 배추 개량종이 들어왔기 때문이란다. 거기에 우리의 지혜로운 발효 기술이 더해진 것이란다. 역사가 100여 년밖에 되지 않았다 주장한다. 거꾸로 말하고 있다. 우리 지혜가 가득 담긴 발효 기술에 배추와 고춧가루가 용해되어 김치를 탄생시킨 것이다. 문화란 바람 같은 것이다. 이유 없이 오가며 서로 상생시키고 새롭게 창출되는 것이다.

전통에는 고유한 것과 우리의 것이 있다. 차하순(車河淳, 1929 ~ , 사학 박사)교수 말이다. 고유한 것은 비교적 오랜 세월 우리의 삶과 함께해 오면서 성숙 된 것이고, 우리의 것이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이지만 잘 소화되어 우리화 된 것을 말한다.

우리의 문화창달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함을 상기하자. 지금도 그러하지만, 더욱 매사에 멋을 생각하자. 한껏 멋을 부려보자.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