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기록프로젝트] 보존 논의없이 허물어진 대전문인들의 집

대전 문인들 작품 속 시대 반영된 오래전 대전 모습 담겨있어
정훈 시인 혜남약방 고택과 박용래 시인 청시사 뼈아픈 역사
임강빈 시인 은아아파트, 최문희 연극인 문학자료 보존 필요

이해미 기자

이해미 기자

  • 승인 2020-05-10 18:44
  • 수정 2020-05-16 13:54

신문게재 2020-05-11 5면

재개발과 재건축을 앞둔 동네와 마을의 기록을 남겨보자는 '메모리존' 조성 취지에 공감을 얻으며 [대전기록프로젝트]가 첫발을 뗐다. 중도일보는 이를 출발점 삼아 연중 시리즈로 [대전기록프로젝트]를 이어간다. 대전시의 재개발과 재건축, 도시재생 정책 방향, 기록이 시급한 주요 동네의 모습, 전문가 토론과 타 도시의 사례를 현장감 있게 살펴본다. <편집자 주>

2016년 7월 8일 철거되고 있는 정훈 고택 중도DB
2016년 7월 8일 철거되고 있는 정훈 고택 시인의 대흥동 고택. 사진=중도일보DB
②대전문인들의 발자취는 어디에

대전에 대한 기록을 찾다 보면 시간의 흐름으로 풀어낸 연혁에서 늘 한계점을 맞는다. 다만 시선을 조금만 틀어보면 정겹고 애정 어린 시선으로 기록된 시와 소설 등 문학 작품 속에서 '대전'을 만날 수 있다. 이는 대전을 기반으로 활동한 문인들의 작품을 재조명하는 기반이 되기도 하지만, 그들이 활동했던 당시 모습이 생생하게 작품에 녹아있어 오래전 대전의 모습을 유추해 볼 수 있는 단서가 된다.



하지만 문인들의 작품과 달리 그들이 살았던 생활 자취는 재개발과 도시 변경 등 외부적인 힘으로 인해 무너져 내리기 일쑤였다. 정훈 고택이 철거됐던 2016년, 박용래 시인의 청시사가 공영주차장으로 바뀐 2008년까지. 문인들의 기록은 뼈 아픈 반성으로 남았다.

대전의 한 문학인들은 "시와 소설에 등장하는 대전은 스쳐 가는 대전이 아닌 살아가며 함께 늙어가며 애정으로 바라본 기록이다. 정훈 시인의 대흥동 고택, 박용래 시인의 청시사가 보존되지 못한 것이 가장 아쉬운 대목"이라고 말했다.

'대전시외/ 시외버스 종점/ 버스에서 내려/ 집에까지 가는 사이/ 살갗에 닿는 선들거리는 바람…' 한성기 시인의 '시외 진잠바람'이라는 시의 한 구절이다. 시인이 진잠에 살던 1979년 대전에서는 시외로 불렸던 유성구 진잠의 모습을 담았다.

'대전이 직할시가 되면서/ 관리들은 굽 높은 신발들을 갈아 신었지만…' 정의홍 시인은 '대전직할시'라는 시를 통해 1989년 행정구역명 변천에 대한 기록을 남겨두기도 했다.

정훈 시인의 고택. 혜남 한약 중도DB
정훈 시인의 고택. 혜남 한약 중도DB
'만다라'와 '목탁조', '국수' 등 자전적 경험을 소설로 쓰는 김성동 소설가도 충혼탑에 대한 어린 시절 기억을 소설 '길'에 묘사했다. 소설에서는 충혼탑 아래서 '할아버지는 저 멀리 아득하게 깔린 식장산자락을 바라보시었다'고 했다. 소설가가 대전 용두동 산 십오 번지에 살았던 1958년에는 충혼탑이 현재 대전형무소 인근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문장이었다.

'은행동'은 대전과 경기 성남시에 두 곳에 있는 지명인데, 박목월 시인의 '은행동'이라는 시를 보면 '아 나는 지도를, 지도 위의 은행동을 더듬어 간다/ 옛날의 번지를/ 그집 주인을/ 다, 친숙하고 어질고, 따듯한 분들을/ 문등이 환한 그집 밤을/착각처럼 확실한 은행동을'이라고 적었다.

박용래 시인 등 충청권 문인들과 막역했던 박목월 시인이 대전 은행동을 자주 오갔음을 추측해볼 대목이다.

테미오래 박용래 시인 아카이브 전시에서 만난 김현정 문학평론가는 "앞으로도 지켜내야 할 문인들의 기록과 자료들이 많다. 대전을 노래한 임강빈 시인이 살았던 은아아파트, 원로 문인 최문희 선생님이 소장하고 계신 문학유산들이 빛을 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행정기관과 문인단체가 사전 교류를 통해 자택의 공간, 자료 일부라도 보존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사후에 일이 터지고 나면 쉽게 되돌릴 수 없다"고 조언했다.

2009년 6월 3일 20일 중도일보 최충식 논설위원은 '중도시평'을 통해 "감꽃 피고 지던 청시사는 사라졌으나 박용래가 현실의 다리를 건너오는 길은 열려 있다.(생략) 빌딩이 아닌 노상주차장이 들어선 걸 다행으로 여긴다. '다행'이란 말의 유효성은 오직 오류동 감나무집 복원을 전제로 할 때만이다"라며 문인들의 기록을 복원할 수 있는 일말의 희망을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