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5강 어목혼주(魚目混珠)

장상현 / 인문학 교수

김의화 기자

김의화 기자

  • 승인 2020-06-30 00:00
제25강 어목혼주(魚目混珠) : 물고기 눈알이 구슬과 섞이다.

본 고사성어는 魚(물고기 어), 目(눈 목), 混(섞을 혼), 珠(구슬 주)의 네 글자로 구성 되었다, 출전은 한시외전(漢詩外傳)에 보이며, 한시외전에 "백골(白骨)은 상아(象牙)와 비슷하며, 물고기 눈알은 구슬과 흡사하다(白骨類象 魚目似珠백골유상 어목사주)"는 구절을 인용하였다.

따라서 '어목혼주(魚目混珠)'는 가짜(물고기 눈)가 진짜(진주)와 뒤섞여 있는 상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물고기 눈알이 어찌 구슬이 되겠는가. 쑥은 가차(?茶)가 될 수 없다.(魚目豈爲珠. 蓬蒿不成?.어목기위주 봉호불성가)」(가차는 고차(苦茶)의 일종으로 일반 차보다 쓴맛이 난다)고 했다.



남송(南宋)시대 마음씨 착한 만의(滿意)라는 상인(商人)이 있었다.

어느 날 만의는 커다란 진주(珍珠)를 사게 되었는데 반짝반짝 영롱한 빛을 품는 것이 한눈에 보아도 값비싼 보물이었다. 만의는 붉은색 비단주머니에 진주를 곱게 싸서 장롱 깊숙이 감추어두었다. 그 진주를 가보로 삼아 자손들에게 물려줄 생각이었다.

한편 만의의 이웃에 수량(壽量)이라는 게으른 가난뱅이가 살고 있었는데, 수량은 자신의 가난한 처지가 남에게 들킬까 늘 불안에 떠는 허영심 많은 사람이었다. 돈만 생겼다 하면 한 푼도 남기지 않고 모조리 써 버렸으며 늘 부자인양 행세를 하고 다녔다. 그러는가 하면 때때로 이웃에 사는 만의와 부(富)를 비교하기도 했다.

하루는 쌀독이 바닥나 며칠을 굶어 지냈던 수량이 배고픔을 견디다 못해 그만 길바닥에 쓰러지고 말았다. 이 광경을 본 행인이 그를 불쌍히 여겨 은자 몇 냥을 손에 쥐어주고 떠났다. 수량은 허기부터 달래려고 마을의 만두가게에 들렸다. 이때 마침 옆자리 손님들이 주고받는 대화를 엿듣게 되었다.

"장사를 마치고 돌아온 만의네 집에 글쎄 찾아드는 손님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고 하더라. 차(茶)도 내주며 후하게 대접한다던데 우리도 한번 가보지 않겠나?" 그의 말에 수량은 귀가 솔깃해졌다. 냉큼 자리에서 일어나더니 배고픔도 잊은 채 곧장 마을의 옷 가게로 달려갔다.

만의네 집에 가면 여러 사람들을 만날 수 있어 자신을 과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사람들을 만나는데 번듯한 옷 한 벌은 있어야지, 그는 주머니에 든 은자를 전부 털어 옷가게에서 가장 비싼 옷을 샀다. 이처럼 수량은 겉만 따지는 사람이었다.

며칠이 지났다. 밖에서 빈둥대던 수량은 어쩌다 바닥에 굴러다니는 물고기 눈알을 하나 발견했다. 그 물고기 눈알은 햇빛을 받아 진주처럼 반짝였다. 수량은 지난번 만의네 집에서 보았던 진주를 떠 올렸다.

"나에게도 이제는 진주가 생겼구나!"

수량은 누가 보기라고 할까봐 얼른 주머니에 넣었다. 그 때부터 수량은 그 물고기눈알을 진짜 진주를 다루듯 애지중지했다.

훗날 같은 마을에 사는 주민이 병들어 곧 죽게 되었다. 의원은 진주를 갈아 약에 넣어 먹어야만 나을 수 있다고 했다. 이를 알게 된 만의가 그 사람을 가엽게 여겨 자신이 아껴온 진주를 내어주겠다고 말했다.

소문은 마을 전체에 퍼졌고 수량도 이를 전해 듣게 되었다. 이 기회에 영웅으로 칭송받고 싶었던 수량은 애지중지하던 물고기 눈알을 가지고 한달음에 달려왔다. 마을 사람들이 모인자리에서 만의와 수량은 나란히 앉았다. 만의가 먼저 보자기를 풀었다. 그러자 뽀얀 진주가 눈부신 광채를 뿜으며 귀한 자태를 드러냈다.

이에 뒤질 새라 수량도 보자기를 풀었다. 그러나 광채는 커녕 거무스름한 빛만 보일 뿐 누가보아도 썩은 물고기 눈알이었다. 이 일이 있은 후 수량은 줄곧 사람들의 비웃음과 조롱을 받아야만 했다. 진짜와 가짜는 처음에는 분간 할 수 없으나 결국 진위(眞僞)가 가려지기 마련이다. 진짜는 언제나 그 광채가 항상 빛나고 고귀하다. 그러나 가짜는 시간이 갈수록 광채를 잃어버리고 몹쓸 물건으로 변한다.

요즈음은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정치인들에게서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기란 하늘에 별 따기 만큼이나 어렵다. 모두가 가짜 같다. 왜? 권력이나 힘으로 진짜를 가짜로 만들고 가짜를 진짜로 만들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장유(張維)의 계곡집(谿谷集)의 글귀도 보자.

겉모습만 보고서 속마음을 믿기 때문에 간사한 사람이 나라를 어지럽히고 있어도 뉘우쳐 바꾸게 할 수가 없는 것이다. 視其外而信其中 故有奸人亂國而不可悔者也(시기외이신기중 고유간인난국이불가회자야)

정의사회(正義社會)란 자기가 노력한 만큼의 대가(代價)를 받는 것이다. 그러나 노력하지 않는 자들이 요행(僥倖)이나 권세(權勢)에 힘입어 노력하는 사람보다 더 큰 대가를 받는다면 누가 힘든 일을 하려고 하겠는가? 무임승차(無賃乘車)가 오히려 당당한 대우받는 희한(稀罕)한 세상이 될 것이다.

결자해지(結者解之)라 했던가! 정책을 태동시키고 추진하고 있는 청(靑)과 여당만이 혼란을 진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권력자에게 아부하여 사회혼란을 일으키는 간신은 단호히 이 사회에서 분리시켜 정의로움을 바로 세워야 할 것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