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교육
  • 교육/시험

KAIST, 서울대-경희대와 고굴절율 투명 플라스틱 필름 제조기술 개발

전유진 기자

전유진 기자

  • 승인 2020-07-14 16:02
  • 수정 2021-05-05 15:36
1
KAIST 임성갑 교수(왼쪽 두번째) 연구팀

KAIST 연구팀이 각종 모바일 기기, 안경 렌즈 등에 활용되는 1.9 이상 고굴절률을 갖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임성갑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교 차국헌 교수(화학생물공학부) 및 경희대 임지우 교수(화학과) 연구팀과 이같은 공동 연구 결과를 지난 8일 국제적인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이들은 단 한 차례의 증착 반응을 이용해 1.9 이상의 고굴절률을 갖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굴절률이란, 진공상태에서의 빛의 속도와 어떤 물질에서의 빛의 속도의 비율로, 빛이 물질을 통과할 때 꺾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다. 최근 더 얇은 두께에서 많은 빛의 굴절을 유도하는 고굴절률 투명 소재의 수요가 늘고 있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고분자 소재 중 굴절률이 1.75를 넘는 재료는 비싼 원료와 복잡한 합성 과정이 필요하다. 

 

원천기술 대부분을 일본이 보유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KAIST-서울대-경희대 공동 연구팀은 단 한 차례의 화학 반응만으로 1.9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면서도 투명도가 우수한 새로운 고분자 박막 제조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굴절률이 높은 플라스틱 소재 원천기술의 국산화를 이끌어 낸 셈으로 최신 IT 기기 제조에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크다.

교신저자로 참여한 임지우 경희대 교수는 "향후 고굴절 소재뿐만 아니라 평면 렌즈, 메타 렌즈 등으로 대표되는 차세대 초경량 광학 소재를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KAIST는 우리나라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기초 및 첨단과학 연구를 위해 지난 1971년 한국과학원법에 의해 설립된 과학기술특수대학이다.  

 

지난 1989년 한국과학기술대학(KIT)과 통합되어 대전으로 이전하며 학부에서 대학원까지 체계적인 과학영재 교육의 기반을 구축했다. 

 

 

지난 1996년 테크노경영대학원이 서울캠퍼스에 설립되고, 부설 고등과학원이 설립됐다. 2004년 부설 나노종합팹센터를 설치했으며, 2009년 한국과학영재학교와 한국정보통신대학교를 통합해 현재 모습을 갖췄다.

전유진 기자 brightbb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