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과학
  • 지역경제

주요 캠핑장 2박 강제에 계좌이체만 가능… 소비자 불만 쌓인다

야놀자, 여기어때 등 5개 캠핑 플랫폼 캠핑장 100곳 조사
100곳 중 34곳은 계좌이체만 허용, 소비자 등 불편 높아
일부 캠핑장은 예약 취소 수수료 부과하는 곳도 상당수

방원기 기자

방원기 기자

  • 승인 2024-06-19 16:25

신문게재 2024-06-20 5면

머리야
국내 주요 캠핑장이 2박 예약을 강제하고 계좌이체로만 요금을 받는 등의 부당행위를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19일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야놀자, 여기어때, 땡큐캠핑, 캠핑톡, 캠핏 등 5개 캠핑 관련 플랫폼과 이들 업체에 등록된 캠핑장 100곳의 실태를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올 2~3월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오토캠핑장 78곳 중 68곳(87.2%)은 2박 우선 예약제를 시행 중이었다. 30곳(38.5%)은 이용 예정일 7일 전부터 1박 예약이 가능했고 1곳은 이용 예정일 하루 전에야 1박 예약을 받았다. 4곳은 2박 예약만 접수했다. 통상 캠핑장 예약이 약 2주 전에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소비자 불만을 야기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소비자원은 지적했다.

실제 소비자 설문 결과 오토캠핑장 이용자 139명 중에서 59명(42.4%)은 1박 이용을 희망했으나 이런 여건 때문에 부득이하게 2박을 예약했다고 답했다. 결제 수단을 계좌이체로 제한하는 것은 물론 예약 취소 시 부당한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도 소비자 불만 요인으로 꼽혔다.



조사 대상 캠핑장 100곳 중 34곳이 계좌이체만 허용해 이 때문에 해당 캠핑장 이용 소비자(352명)의 60.2%(212명)가 불편을 겪었다고 답했다. 18곳은 예약 취소 시 전액 환급해야 할 상황임에도 은행 수수료 명목으로 최소 500원에서 최대 1만 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약 취소와 관련해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97곳은 소비자 귀책사유에 따른 계약 해제 시 성수기, 주말 등 이용 시기를 구분하지 않고 위약금을 산정했다. 74곳은 사업자 귀책으로 인한 계약 해제에도 별도 배상 규정을 두지 않았다. 기후변화와 천재지변 등에서 계약금 환급 조항이 없는 캠핑장도 45곳이나 됐다.

소비자원은 해당 사업자들에게 1박 예약 가능일을 7일 전에서 15일 전으로 조정하고 계좌이체 외에 다른 결제 수단을 추가하도록 권고할 계획이다. 위약금 규정이 없거나 허술한 캠핑장에 대해선 분쟁 해결기준을 참고해 관련 규정을 마련하도록 할 방침이다.

공정위는 또 이번 실태조사에서 5개 캠핑장 플랫폼이 캠핑장 예약 취소 시 위약금을 과다하게 산정하거나 사업자의 법률상 책임을 일률적으로 면제하는 등 불공정 약관조항을 둔 점을 확인하고 직권조사를 통해 면밀하게 살펴보기로 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앞으로고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자 불편을 해소하고, 불공정한 거래 관행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