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천 교수 |
급진적인 개혁을 통해 도학 정치를 실현하고자 했던 조광조는 대쪽 같이 꼿꼿했고 타협을 모르는 성품을 가진 인물이었다. 이러한 시대의 불운아 조광조의 제자 중에 양산보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기묘사화로 스승인 조광조가 화순으로 유배 가서 끝내 사약을 받아 죽자 양산보는 고향 근처 무등산 아래에 소쇄원이라는 정원을 짓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살면서 스스로를 소쇄옹이라 불렀다. 지금의 전라남도 담양군 지곡리에 있는 소쇄원(瀟灑園)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 세워진 정원이다.
맑고 깨끗하다는 뜻을 지닌 소쇄원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정원 중에 하나로 손꼽히며, 수많은 문인들이 소쇄원을 찾아와 시문을 익혔다. 이 시기 하서 김인후, 송강 정철, 면앙정 송순, 고봉 기대승 등이 은둔자 양산보를 찾아와 교분을 나누었다. 안타깝게도 임진왜란으로 소쇄원이 소실되어 초기의 모습을 잃은 것은 뼈아픈 문화적 손실이지만 이후 역사적 자료와 고증을 거쳐 상당 부분이 복구되어 오늘날 한국의 3대 정원에 이르게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나는 10여 년 전에 수차례 학과 문학답사로 학생들을 인솔하여 조선시대 문향이 배어 있는 소쇄원 일대에 머문 적이 있었다. 소쇄원을 들어가는 길은 대나무가 숲을 이루어 적요함과 신비함을 더해 주었으며, 이 길을 지나면 청량한 바람을 맞으면서 시인 묵객을 맞이한 광풍각에 이른다. 그리고 그 뒤편으로 비 개인 하늘의 상쾌한 달빛 아래에서 고고히 서책을 넘기며 수양을 닦았던 제월당을 둘러보면서 이윽고 소쇄원의 깊고 그윽한 정취에 취하였다. 때로, 소쇄원 근처에 조성된 울창한 대숲인 죽녹원에서 때마침 댓잎에 떨어지는 빗소리를 들으면서 휴대폰을 잠시 꺼놓고 고요한 침묵의 여유를 갖는 것은 행운 같은 덤이었다. 그리고 잠시 길을 돌려 면앙정으로도 가기도 했는데, 이곳은 송순이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향인 담양으로 내려와 제월봉 아래에 지은 정자로 송순은 면앙정에서 강호제현과 학문을 논하고 후학을 양성하면서 여생을 보냈다. 가히 담양은 조선시대 국문 문학이 꽃피었던 곳으로 양녕대군의 증손인 이서가 귀양지 담양의 빼어난 경치를 표현한 <낙지가>, 송순이 무등과 제월봉의 수려한 장관을 노래한 <면앙정가>, 정철이 잠시 내려와 담양의 서하당과 식영정을 배경으로 풍류를 읊은 <성산별곡> 등이 창작된 가사문학의 산실로서의 위상을 지닌 유서 깊은 고장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문과 학생들을 인솔하여 한국가사문학관에 들러 가사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자료를 살펴보면서 소쇄원의 여정을 마무리했던 기억이 지금도 선명하게 떠오른다.
나는 지난 달 소쇄원을 그리며 다시 담양을 찾았다. 광풍각 뒷마당에 서 있는 매화나무는 한결같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제월당 현판은 우암 송시열의 서체답게 웅장하고 호방하며, 흙과 돌을 섞어 쌓아 올린 담장은 아담하며, 봉황이 내려와 둥지를 튼다는 담장 옆 벽오동 나무도 곧게 뻗어 있으며, 배롱나무 가지의 만개한 분홍 꽃과 자연의 계곡물을 끌어와 만든 작은 연못도 오묘하게 조화를 이루며 변함없다. 시대와의 불화로 뜻을 펼치지 못한 양산보, 그래서 세상의 공명을 버리고 스스로를 유폐시켰지만 그가 지은 소쇄원은 지금도 사람의 발길이 끊이지 않으면서 소쇄원이라는 이름 그대로 여전히 우리네 삶의 찌든 몸과 어지러운 마음을 정화시켜 주고 있다.
/백낙천 배재대 국어국문·한국어교육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