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교육
  • 미담

대전현충원 묘역 공사중 분청사기 파편 출토

잘못 구워진 토기 버리는 폐기장 추정
주변 가마터 존재 추정되나 발굴조사는 없어
둘레길에 옛 토기파편 그대로 노출돼 훼손 우려
"문화재적 가치는 높지 않으나 보존조치 진행중"

임병안 기자

임병안 기자

  • 승인 2018-02-10 11:15
  • 수정 2018-02-10 11:23
국립대전현충원 묘역 확충공사 현장에서 조선시대 분청사기 흔적이 다수 발견돼 관심을 받고 있다. 깨진 분청사기 조각들이 대량으로 쌓여 있는 것으로 보아 잘못 구워진 작품들을 버리던 폐기장인 것으로 추정된다. 인근에 조선시대 백자나 분청사기를 굽던 가마터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과 함께 더 세밀한 현장보존 필요성이 제기된다.

제목 없음111
현충원 묘역확충 공사중 발견된 옛 그릇의 파편들.
대전현충원이 제7묘역을 확장하기 위해 지반 정리작업을 진행하던 곳에서 사기그릇 파편이 대량으로 출토됐다. 현장에서 발견된 파편들은 손바닥 절반 정도의 크기로 굴곡진 모양에서 사기그릇의 일부분임을 육안으로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비교적 온전한 그릇 모양의 파편부터 그릇의 밑동으로 여겨지는 조각들이 다수 발견됐으며, 유약을 바르고 무늬를 입힌 특징이 분청사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분청사기는 백토로 분장한 회청색의 사기를 말하는 것으로 조선 초기 토속적이며 대중적인 도자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2008년 발간한 ‘계룡산 분청사기’에 의하면 계룡산 기슭에는 공주 반포면 하신리를 포함해 40여 기의 가마터가 존재하며 현장에서는 대부분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자가 수습됐다고 설명하고 하고 있다.



특히 계룡산국립공원 입구 방향의 공주 학봉리 가마터(요지·사적 제333호)는 철화분청자의 대표적 생산지로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는 곳이다. 학봉리 가마는 대체로 15세기 초에 시작돼 16세기 전반경까지 자기 생산이 활발했던 곳으로 자유분방한 무늬와 흑백의 조화를 이루는 선명한 색채, 거칠고 빠른 붓놀림이 특징인 공주를 대변하는 문화유산이다.

이번에 사기조각들이 발견된 대전현충원 현장 역시 계룡산의 일부이자 갑하산 하단부다. 특히, 사기조각 폐기장으로 추정되는 곳이 현충원 내 보훈둘레길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현장보존이 어려운 실정이다. 깨진 그릇들이 흙과 함께 어지럽게 쌓여 있고 절개된 흙벽에는 옛 토기 파편들이 촘촘히 박혀 있는 모습이 맨눈으로 관찰된다.

제목 없음222
분청사기 파편이 쌓인 현장에 안내문.
대전현충원은 현장에 안내표지판을 내걸어 “(현충원 조성부지)갑동 평전말 마을에 그릇을 만드는 사기소가 있었던 곳으로 점말이라고 불렸다”고 설명하고 “특이사항이 없으나 보존될 수 있도록 협조 바랍니다”라고 당부하고 있다.

대전현충원은 문화재 지표조사를 통해 발굴된 파편들이 조선시대 말 분청사기의 일부임을 확인하고 대전시에 보고했으며, 적정한 조사·기록 후 보존조치를 취하고 있다. 분청사기 파편과 폐기장 추정지까지 발견되면서 인근에 옛 형식을 유지한 가마터까지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더이상의 발굴조사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충원 일대가 자연보호구역이어서 임의로 문화재 발굴을 위한 자연훼손을 할 수 없고, 추가 묘역개발도 없을 예정이어서 사전 문화재지표조사 계획도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발견된 옛 분청사기 현장도 훼손이 불가피한 현실이다. 많은 시민이 찾는 보훈둘레길에 옛 분청사기 폐기장 추정지가 그대로 노출돼 있어 누군가 손을 대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둘레길 보행자들이 토기파편을 호기심에 주워가거나 현충원 사무실에 직접 가져오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대전 서구 장안동에 백자가마터가 2000년 충남발전연구원에 의해 발굴돼 기념물로 지정됐고, 중구 정생동에서는 16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되는 백자가마터(길이 26m)와 폐기장이 함께 출토된 바 있다.

대전현충원 관계자는 “묘역을 개발하는 부지 내에서만 문화재조사를 할 수 있어 주변에 가마터가 있을 것으로는 추정되나 아직 조사되지는 않았다”며 “대전시에 보고해 문화재적 가치는 높지 않으나 유래를 남길 수 있도록 현장을 보존하라는 전달을 받아 표지판을 통해 안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