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 공연/전시

대전시립미술관 29일부터 프랙탈 거북선 재가동

보존처리 완료, 백남준 선생 13주기 맞춰 재가동
과학&예술 이뤄낸 걸작… 보존위해 제한적 운영

이해미 기자

이해미 기자

  • 승인 2019-01-28 13:54

신문게재 2019-01-29 21면

거북선
보존처리 완료 후 정상으로 회복된 프랙탈 거북선. 사진=대전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의 프랙탈 거북선 보존처리가 완료돼 29일부터 재가동된다.

프랙탈 거북선은 1993년 대전엑스포 재생 조형관에 과학기술, 문화, 환경의 참다운 조화의 제주로 1920년대부터 제작된 300대 이상의 텔레비전, 전환기, 축음기, 폴라로이드카메라, 토스트기, 라디오, 박제거북 등이 사용된 작품이다.

프랙탈은 작은 구조가 전체 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끝없이 되풀이 되는 것으로, 2001년 대전시립미술관으로 이전해 2002년부터 전시 중이다.



특히 29일은 비디오아트의 거장 고 백남준 서거 13주기로 재가동의 의미가 남다르다.

프랙탈 거북선은 과학과 예술이 만나 이뤄낸 세계적인 걸작으로 4차 산업혁명 선도 도시이자 과학예술의 보고인 대전시립미술관의 상징이다.

대전시립미술관은 보존전문가의 정밀진단과 자문 및 내부회의를 거쳐 전자부품 노후화로 가동이 중단됐던 프랙탈 거북선의 보존처리를 완료했다.

선승혜 대전시립미술관장은 “백남준 선생님이 13주기에 프랙탈 거북선의 재가동으로 부활하신 것처럼 예술은 영원하다”며 “이 작품에서 백남준 선생이 주장한 과학기술과 문화, 환경의 참다운 조화라는 주제에 공감하며, 우리 함께 인류의 미래를 다시 생각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환주 학예연구사(작품보존전문가)는 “프랙탈 거북선을 비롯한 뉴미디어 작품들은 사용된 전자부품의 내구연한에 따라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작품의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존처리를 통해 작품의 상태를 세심하게 살피고 원형을 회복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전시립미술관은 프랙탈 거북선의 안정적인 보존 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가동 시간을 제한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서거 13주기에 다시 깨어난 백남준_02.
보존처리 과정 중인 프랙탈 거북선. 거북선 위에 올라가 보존처리를 진행 중인 이정성 대표. 사진=대전시립미술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