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웁살라의 한 여인

김명주 충남대 교수

이상문 기자

이상문 기자

  • 승인 2019-04-15 14:19

신문게재 2019-04-16 22면

김명주-충남대-교수
김명주 충남대 교수
지난해 9월 말 논문 발표 차 스웨덴 웁살라대학에 갔다. 일찌감치 찾아온 북구의 겨울을 예상치 못한 나는 그곳에 머무는 내내 찬바람 속에서 숙소와 회의실만 오가며 종종걸음 쳤다. 외국인에 대한 그들의 냉랭함은 추위만큼이나 쌀쌀했다. 유럽 학회에 갈 적마다 느끼는 소외감, 낯선 이방인에 대한 그들의 무심함을 난 유럽 중심주의적 오만함이라 여기며 늘 불만스럽게 그들을 경계했다. 몸도 마음도 모두 추웠다.

학회 마지막 날, 아침 일찍 라운드 테이블에 가려고 서둘러 숙소를 나섰다. 널찍하고 쾌적한 회의실에 도착하니 아무도 없었다. 20여 명 앉을 수 있는 공간에서 어디든 자리 선택이 가능해진 나는 입구에서 가장 먼 쪽에 한 자리를 잡고, 그 옆자리에 가방을 놓았다. 즉, 나 혼자 자리 두 개를 차지한 셈이다. 식당이든, 도서관이든, 강의실이든, 자리를 잡고 앉으면 가방은 언제나 옆자리에 놓는 것이 거의 습관이다. 가방을 바닥에 내려놓는 것이 꺼림칙하고, 자리가 모자랄 염려는 불확실하며 시기상조라고 변명하면서. 실은 마음 깊은 곳, 내 옆에 아무도 앉지 않길 바라는, 나 혼자 편하고 싶은 파렴치한 이기심도 없지 않다. 으레 것 그래 왔으니 딱히 문제의식이 없었다.



잠시 후 젊고 키 큰 여성 학자 하나가 씩씩하게 들어오더니 내게 반갑게 인사했다. 그녀는 잠시 두리번거리고는 자신의 가방을 멀찌감치 창틀에 휙 던지고, 내 옆, 정확히 말해서, 내 가방이 놓인 의자 옆자리에 앉았다. 아직 빈자리가 수두룩했으니 그녀는 얼마든지 옆자리에 자기 가방을 놓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불편함을 감수하고 두어 걸음 떨어진 창틀에 가방을 놓은 것이다. 순간 나는 몹시 부끄러웠다. 나의 이기심이 적나라하게 들켜버린 것이다. 20개 의자가 있는 공간에서 지금은 우리 둘밖에 없기 때문에 빈지리가 많지만, 그 회의실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자리는 오직 하나라는, 자신이 누릴 수 있는 권리의 한계를 그녀는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만일 자신이 마땅히 누려야할 권리를 박탈당했다면, 당연히 그 권리를 당당하게 주장해야 한다. 동시에, 나의 권리만큼이나 소중한 타인의 권리도 존중하는 것이 진정한 민주의식이다. 그렇다면 두 자리를 확보하려는 것은 비민주적인 탐욕이다. 나는 두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 비민주적 행위임을 의식하지 못했고, 그녀는 민주의식을 일상 속에서 체화하고 있었던 것이다. 망신당한 기분으로 나는 얼른 내 가방도 그녀처럼 창틀에 올려놓았다. 라운드테이블이 시작할 시간이 다가오자, 20개의 자리는 점차 사람들로 꽉 채워졌다. 재빨리 가방을 옮겨놓지 않았더라면 더욱 망신스러울 뻔 했다.

라운드테이블에서 둘씩 짝지어 자신의 소감을 나눴다. 당연히 난 옆자리 그녀와 짝이 되었다. 그녀에 대한 신뢰와 존경심을 갖게 된 나는, 학회의 배타적 분위기, 주최 측의 환대부족 등에 대해 솔직하게 비판했다. 그녀는 조용히 경청했다. 마침내 200여 명이 모이는 최종 전체회의가 열렸다. 차기 학회 개최문제, 학회운영, 문제점 등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이었다. 그때 바로 그녀가 번쩍 손을 들더니, 친밀한 분위기에서 고백했던 학회에 대한 나의 해묵은 비판을 공식적으로 문제화했다. 외국인들을 환대하는 모임을 따로 마련하자는 제안이었다. 다들 고개를 주억거렸다. 나와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개인의 문제의식을 정치화하는 그녀의 일상화된 민주의식은 참 존경스러웠다. 발표한 내 논문이 주목받지 못해 학문적 성과는 '별 거' 없었지만, 그녀와의 만남은 두고두고 '별 거'가 될 것 같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