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2017 19대 대통령선거

‘포스트 대선’…지역 정가 대선 결과 셈법 분주

송익준 기자

송익준 기자

  • 승인 2017-05-10 07:45

충청 정가 시선 이미 내년 지방선거로 쏠려

대선 결과 놓고 정치적 셈법 복잡..사실상 지선모드 돌입


제19대 대선이 끝나면서 충청 정가의 시선은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다.

대선 결과가 원내 5당 대선 후보는 물론 각 당의 운명을 가르면서다.

결과지를 받아든 지역 정가는 정치적 유불리를 계산하며 지방선거 모드로 전환하는 모습이다.

이번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문재인 후보는 ‘대세론’을 이어가며 최종 승리를 거머쥐었다.

국민의당과 안철수 후보는 문 후보와 한때 양강 구도를 이루기도 했지만 결국 패배했다.

자유한국당과 홍준표 후보도 막판 상승세를 이어가려 애썼지만 문 후보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지역 정치권의 표정은 극명히 갈렸다.

민주당은 기뻐하면서도 긴장을 늦추지 않는 모습인 반면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은 실망이 큰 분위기였다.

당장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치러야 하는 만큼 모두 생존을 모색해야 하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으로선 정치적 기반을 더 탄탄히 다지는 효과를 봤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같은 당 소속 대통령, 광역단체장 구도가 형성돼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됐다는 얘기다.

민주당은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충청권 4개 광역단체장을 모두 석권한 바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의 당내 경선 선전으로 민주당은 충청에서 ‘안희정’ 효과 기대도 가능한 상황이다.

다만 혼란스런 국정을 수습하지 못한다면 역풍을 고스란히 맞을 수 있다는 점이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자유한국당은 위기에 빠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한국당(옛 새누리당)은 충청권 4개 광역단체장은 물론 대전에서도 대덕구를 제외한 기초단체장 자리를 모두 민주당에게 내줬다.

대전 광역의원도 5명을 배출하는데 그쳤고, 1명은 바른정당으로 옮겨 현재 4명뿐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후폭풍에 더해 대통령 배출도 실패하면서 지방선거에서 유리한 구도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충청권 보수를 하나로 뭉치는 구심점 역할의 부재도 문제로 지적된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은 대권 레이스에서 이탈한 바 있고, 이완구 전 국무총리는 성완종 리스트 사건으로 기소돼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국민의당도 위험하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국민의당은 안 후보의 녹색돌풍에 힘입어 대전·충남 전현직 지방의원들의 입당으로 세를 불렸으나 대선 패배 현실을 마주한 상황이다.

바꿔 말하면 우르르 입당했던 인사들이 정치적 생존을 위해 또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위험을 안게 된 셈이다.

다른 당보다 견고하지 못한 지지층과 조직력은 항상 국민의당의 약점으로 지적돼 왔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당발(發) 이합집산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창당 후 첫 지방선거를 치루는 국민의당 입장에서 인재 이탈은 뼈아플 수밖에 없다.

바른정당과 정의당은 유승민, 심상정 후보의 예상 밖 선전으로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바른정당은 개혁보수 가치로 지역 보수 진영을 재편할 가능성을 높였고, 정의당은 존재감 부각과 진보정당 외연을 넓혔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물론 충청에서 다른 당에 비해 세(勢)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은 두 당의 여전한 약점이다. 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