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기자수첩

[임효인의 세상만사]나의 유관순

임효인 기자

임효인 기자

  • 승인 2018-05-15 16:51

신문게재 2018-05-16 21면

p
"고향이 어디예요?" "저 병천이요, 천안 병천." "아, 병천순대요?" "네, 순대도 유명하고 유관순 언니가 만세운동한 아우내장터 병천이요."('아우내'는 한자 아우를 병(竝)과 내 천(川)을 붙인 '병천'의 순우리말 지명이다)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이런 식의 대화를 수도 없이 나눴다. 내가 자란 곳을 꽤 많은 사람이 알고 있었다. 나의 '소울푸드' 순대를 언급하는 것도 좋지만 나의 유관순 언니를 먼저 떠올리는 사람이 더 많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꼭 유관순 언니를 덧붙인다.

'매봉산 봉우리에 동 트는 태양, 온 누리에 선열의 얼 찬란도하다' 아직도 또렷한 모교 병천초 교가(校歌) 도입부다. 이 매봉산 자락 아래, 유관순 언니가 있다. 초등학생이었던 나는 가을이면 유관순 사우로 소풍을 갔다. 넓은 마당에 앉아 유관순 언니를 떠올리며 백일장대회를 치렀다. 18살의 나이로 눈 감은 언니의 희생을 오랫동안 기억하고 기려야 한다고 꼭꼭 강조했다.



내 성장은 유관순 언니와 함께였다. 주기적으로 언니의 정신을 떠올리는 일이 매년 반복됐다. 3.1절을 앞둔 2월 마지막 날엔 만세운동을 재현하는 '봉화제'에 참가했다. 매주 주말 순대를 먹겠다고 전국 각지에서 찾아오는 사람보다 더 많은 인파가 병천을 찾았다. 각종 부대행사가 열렸고, 우리 동네 특산품과 먹거리를 마음껏 먹었다. 날이 어둑해지면 횃불을 들고 유관순 열사 사적지부터 아우내장터까지 1.3㎞가량을 행진했다. 나의 10대는 물론 대학생이 돼서도 구제역이나 AI로 행사가 취소됐던 적을 빼고는 모두 그 자리에 있었다. 거의 모든 유년을 병천에서 지낸 나에게 언니는 참 특별하다. 가족, 친구와의 산책길은 유관순 생가로 향했고, 2003년 열사 탄생 100주년에 맞춰 건립된 기념관을 수십 번도 더 드나들었다. 매번 그의 순국이 마음 아팠고, 그 용기와 기상에 감탄했다.

대전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하고 얼마 안 돼 신채호 생가에 간 적이 있다. 병천에 있는 유관순 생가가 오버랩되면서 '우리 동네에도 이런 게 있는데'란 생각에 괜히 으쓱했다. 두 열사 모두 희생의 경중을 따질 수 없는 훌륭한 선대다. 온몸으로 나라를 지키려 했던 이들의 희생을 생각하면 지금도 울컥하는 게 나 뿐만은 아닐 거다.

고향을 떠나온 최근, 유관순 언니의 이름이 언론에 오르내린다. 어쩌면 내가 기자가 되고 싶었던, 언니처럼 세상을 위해 쓰이고 싶었던 이유인 그 이름이 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관순 열사는 3.1운동의 공으로 1962년 건국훈장 중 3등급인 독립장을 인정받았다. 당시 시인 윤동주, 독립운동가 김마리아 등 806명이 같은 서훈 3등급에 이름을 올렸다. 훌륭한 업적을 남긴 이들이 있는 반면 이중엔 친일 언론인도 포함돼 있다. 유관순 언니가 조국을 부르짖던 나이보다 훌쩍 커버린 나는 감옥에서 쓰러진 언니를 생각한다. 미처 꽃피우지 못한 언니를 위해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눈앞에 있다. 늦었지만, 열사의 정신을 드높이는 이 움직임에 많은 이들이 함께하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