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대전

[기획]산내의 비극 공유… 진상규명 위한 국민 관심 절실

행안부 산내 '전국단위 위령시설' 조성 추진 중
영국 현지 상영회 등 비극 알리기 위한 노력 불구
여전히 많은 이들 몰라… 과거사위 2기 출범도 안갯속

임효인 기자

임효인 기자

  • 승인 2019-11-20 16:55

신문게재 2019-11-21 3면

[기획]대전 산내 골령골 민간인학살 진실을 재조명하다-'런던에서 산내까지'

3. 골령골 학살, 어떻게 기억돼야 할까





2017년 골령골 현장에서 시굴조사
2017년 11월 27일 대전 산내 골령골에서 민간인 학살 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제공
KakaoTalk_20191120_150033014
런던대 한국학연구소 칼슨 교수가 지난달 29일 열린 다큐멘터리 '70년 만의 나들이' 상영회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정부가 대전 산내 골령골에 민간인 학살 희생자를 추모하는 전국단위 위령시설 조성을 추진 중이다. 억울하게 가족을 잃은 유족의 한을 달래고 아픈 역사를 간직할 수 있는 공간은 그 자체로도 큰 의미를 갖지만 한편으론 아직 많은 이들이 이러한 비극을 알지 못하고 있다는 면에선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수많은 영혼이 잠들지 못한 산내의 비극은 보다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평화를 위한 관심을 보일 때 비로소 그들을 위로할 수 있다.



지난달 29일 오후 5시께(현지시각) 영국 런던에 머물었던 팟캐스트 '아는 것이 힘이다' 정진호 PD는 산내 골령골에서 일어났던 민간인 학살을 알리기 위한 의미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자체 제작한 다큐멘터리 '70년 만의 나들이'(Returning, After 70 Years)를 통해 골령골의 비극을 알린 것이다. 지난해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 골령골'을 선보인 지 1년 만에 또 한 번 골령골 이야기를 전파했다.

휴먼다큐멘터리 '70년 만의 나들이'는 산내 민간인 학살을 최초로 세상에 알린 영국인 기자 앨런 위닝턴(Alan Winnington·1910~1983)의 첫 번째 부인 에스터가 지난 6월 한국에 방문한 사흘간의 여정을 기록했다. 에스터 여사는 지난 방문 당시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위령제에서 유족의 아픔을 달래고 산내 민간인 학살을 주제로 열린 첫 심포지엄에서 자신의 남편인 앨런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다.

이날 상영회에 참석한 이들은 한국전쟁 이후 완전히 바뀌어버린 이들의 삶에 공감과 위로를 표하고 대전 산내에서 일어난 참혹한 사실을 알게 됐다며 관심을 보였다. 런던대 한국학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앤더스 칼슨(Anders Karlson) 교수는 "감동적이었고 잊혀진 역사를 규명하는 데 이번 상영회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 것 같다"며 "특히 이 다큐멘터리는 비극적인 역사적 사실 이면에 감춰졌던 한 개인의 슬픈 사연을 조명했기 때문에 더 공감할 수 있었다. 향후 학생들과 이 영화를 본 뒤 어떻게 역사를 이해하고 이야기할 것인가에 대해 토론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골령골 민간인 학살을 알리기 위한 상영회는 런던대와 필리핀대(UP) 등을 비롯해 국내에서도 여러 번 진행되며 관심을 환기했다. 그러나 여전히 대전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산내 골령골 민간인 학살이 알려지지 않은 게 현실이다. 제주4·3이나 영동 노근리사건에 대한 국민 인지도와 비교했을 때 가장 많은 희생자가 목숨을 잃었는데도 불구하고 그동안 정치권과 행정당국의 무관심 등으로 조명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늦게나마 지난 2016년 정부가 산내 골령골에 전국단위 위령시설을 짓겠다고 나선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위령시설은 현재 기본설계에 돌입했으며 일부 토지보상이 이뤄지고 있다. 설계비 등 필요한 예산 100억 원가량을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콘셉트는 정해진 게 없는 상태지만 산내에 들어설 위령시설을 단순 추모시설로 한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평화의 상징이 될 수도 있고 후대를 위한 교육의 장 역할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전히 안갯속에 있는 진실 규명 과제도 남아 있다. 지난 2010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활동이 종료된 가운데 2기 출범을 위한 과거사법 개정안이 국회 상임위를 통과한 상태다. 여야 대립으로 법제사법위원회 상정을 낙관하기 어려운 전망 속에서 보다 진실 규명에 대한 목소리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건 국민의 관심이다. 런던=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