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세종

해수부-환경부,집중호우 해양쓰레기 치우기에 총력

집중 수거주간(8. 18.~23)운영... 수거 장비 총동원

오주영 기자

오주영 기자

  • 승인 2020-08-14 12:00
바다쓰레기

해양수산부는 최근 집중호우 등으로 전국 연안에 발생한 해양쓰레기를 신속하게 수거하기 위해 18일부터 23일까지 집중 수거 주간을 운영키로 햇다.

해수부에 따르면 이번 집중호우 기간 동안 전국적으로 1만1천173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13일 오후 3시 기준으로 3천925톤이 수거됐다.



발생한 해양쓰레기의 대부분은 하천 등을 통해 바다로 유입된 풀·고사목 등 초목류이며, 나머지는 생활쓰레기로 파악된다.

해수부는 집중 수거주간동안 각 지역의 지방해양수산청을 중심으로 관내 지자체, 산하기관, 지역주민 등과 함께 전국적으로 해양쓰레기를 집중 수거할 예정이다.

청항선 22척, 어항관리선 12척 등 수거 장비를 총동원해 작업에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해수부는 연안과 해역의 쓰레기를 수거하고, 환경부는 내륙지역의 댐·하천 등의 쓰레기를 수거할 계획이다. 지난 6월에도 환경부와 함께 장마철 대비 해양쓰레기 정화주간을 운영해 490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한 바 있다.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경우, 썩지 않고 분해되지 않는 특성상 대부분이 그대로 남게 돼 해양 쓰레기의 90%를 차지하게 된다. 이렇게 버려진 플라스틱은 물결을 타고 떠돌다가 해류의 흐름에 떠밀려 특정 지역에 모여들고는 마치 그들만의 아틀란티스처럼 점점 세를 불린다.

 

가장 큰 문제는 생태계 교란이다. 종종 언론을 통해 그물을 먹고 죽은 고래나 플라스틱 조각을 삼켜서 괴로워하는 바다 새의 모습이 등장하곤 하는데, 더 심각한 것은 이렇게 큰 것보다는 오히려 작은 것이다. 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는 않지만, 오랜 세월 바다에서 떠돌며 햇빛에 노출되면 물리적 충격에 의해 잘게 부스러지기 마련이다. 이렇게 잘게 부스러진 마이크로플라스틱은 많은 해양 생물들에게 먹잇감으로 오인되곤 한다.

 

물속의 플랑크톤이나 작은 갑각류를 걸러 먹는 것은 많은 물고기들의 영양 섭취 방법이다. 이렇게 마이크로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해 섭취하는 경우 이들은 소화되지 않고 몸속에 그대로 쌓이게 되고, 이들은 다시 먹이사슬을 따라 상위 단계의 포식자들에게 먹힘으로써 결국 생태계 전반으로 퍼져나간다. , 내부로부터의 플라스틱 중독이 일어나는 셈으로 결국 이는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는 해양 생태계가 교란되면 그 영향은 결국 전 지구적으로 확산될 것이고, 인간 역시도 그 파멸의 소용돌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지금 이 시간도 북태평양 바다 위에는 또 하나의 플라스틱 더미가 더해지고 있다. 우리가 쉽게 사용하고 버리는 플라스틱 제품들이 그 속도를 더욱 가속화시킬지도 모른다.

세종=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