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타인은 우주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김소희 기자

김소희 기자

  • 승인 2021-10-04 10:39

신문게재 2021-10-05 18면

김명주 충남대 교수
김명주 충남대 교수
특유의 자체발광 발랄함으로 세간의 사랑과 비난을 듬뿍 받는 그녀는 오래전 한 강연에서 이렇게 말했다. "남은 나를 오해할 권리가 있고, 나는 오해를 해명할 의무가 없다!" 칭송만큼이나 비난으로 억울했던 삶의 상처 깊은 곳으로부터 우러나오는 그녀다운 대담함과 관대함이 뚝뚝 묻어나는 말이었다.

살다보면 누구나 엉뚱한 오해로 인해 속상한 경험이 다수리라. 서로 마음을 열었던 사이라면 오해는 더욱 아프다. 그렇거나 말았거나 오해는 필연, 오해로 인하여 마음을 다칠 필요가 없음을 그녀는 오래전 터득했던 모양이다. '나'라는 텍스트는 무한한 해석에 열려있다. 해석 주체에 따라 '나'라는 텍스트에 대한 해석은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음을 그녀는 일찌감치 깨달았던 것이다. '나'라는 텍스트의 총체는 '나'라고 생각하는 '나'조차 속속들이 알지 못하는 불가지(不可知)의 우주다. 하물며 '나'가 아닌 다른 사람이 '나'라는 텍스트를 해석하고자 한다면, 해석은 언제나 '나'라는 텍스트의 일면에 집착하거나, '나'라는 텍스트와는 아예 상관없이 해석 주체의 내면이 투사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러니 오해는 필연이다.



예를 들면, 누군가 '나'라는 텍스트를 해석하면서 '나'라는 사람은 '이기적'이라고 뒷담화 했다고 치자. '이기적'이라는 해석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나'가 스스로 의식하든 못하든 실제로 '나'는 이기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기성'은 '나'의 한 부분일 가능성이 많다. 사람은 누구나 다면적이라서 '이기적'이라고 한 마디로 평가하기엔 매우 복잡한 존재다. '나'라는 텍스트를 '이기적'이라는 단어로 일괄해버리면 '나'라는 텍스트의 총체에 대한 바람직한 해석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석은 해석자의 권리다. 그래서 그녀 말대로 오해는 권리일 수 있다.

혹은 '이기적'이라는 해석은 '나'라는 텍스트와는 상관없이 해석 주체의 내면이 투사되었을 수도 있다. 소위 부처의 눈에는 부처만 보이고, 돼지의 눈에는 돼지만 보인다는 말이 여기 해당된다. 누구나 아는 만큼, 관심 있는 만큼, 자신 안에 들어있는 만큼만 보이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자신이 질투심이 강하면, 다른 사람의 특정 감정도 질투심 때문일 거라고 속단한다. 승진만이 자신이 느끼는 성취감의 척도도 여긴다면 다른 사람의 어떤 기획도 승진을 도모하는 정치적인 노력일 뿐이라고 치부해버릴 것이다. 그러니 해석 주체의 관심사가 투사된 해석은 더더욱 '나'라는 총체와는 거리가 한참 멀다. 소위 부당하고 부실한 해석이다. 하지만 이 역시 '나'가 저항할 수 있는 해석은 아니다. 부당하고 부실한 해석조차 해석자의 권리일 수밖에 없다.

해석 주체가 '나'라는 텍스트의 일면을 보았든, 해석 주체의 내면을 투사했든 어떻든 간에, 해석 주체가 지닌 인식의 한계를 그녀는 대담하게 인정할 뿐만 아니라 관대하게 포용한다. 그러니 그녀는 칭송과 비난에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었고, 현명하게도 자신에 대한 오해에 일일이 해명할 필요를 느끼지 않았던 것이다. 소신껏 사는 것이다.

우리는 끊임없이 남을 해석하고 해석 당한다. '나'라는 텍스트가 해석 당할 때엔 일면적 해석이든, 해석 주체의 투사든, 해석 주체의 권리를 수용하면서 좀 느긋해질 필요가 있다. 반대로 내가 '타인'이라는 텍스트를 해석하는 입장이 되면 느긋함 이상의 윤리적 슬기로움이 필요하다. 타인도 불가지의 우주라는 사실! 그래야 타인에 대한 섣부른 속단을 유보할 수 있다. 어쩔 수 없이 '타인'이라는 텍스트를 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땐, 나의 내면이 투사되지 않도록 대상에게 정당해야 할 것이며, 결국 타인이란 우주는 속속들이 파악될 수 없다는 인식의 한계를 상기해야 할 것이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