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에 없는 대전충남史] "잔치 열어주던 마을·등굣길 걱정하던 기사들 기억하죠"

임병안 기자

임병안 기자

  • 승인 2021-10-06 15:20
  • 수정 2021-10-07 10:08

신문게재 2021-10-07 11면

컷-검색에





김광철 대전교통 대표이사 겸 운송사업조합 이사장

2대째 버스회사 운영하며 시내버스 증인
"시민의발이자 공동관리위 빛나는 역사"

 

버스1
1981년 대전 시내 번화가에 정차한 채 승객을 기다리는 시내버스.
"버스가 개통할 때 마을에서 잔치가 열리고, 폭설에 운행을 중단할 때 등교 못하는 학생들을 걱정하던 기사 모습이 선합니다" 김광철 대전교통(주) 대표이사 겸 대전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은 아버지가 운영하던 버스회사에서 일을 배워 현재까지 42년간 대전 시내버스 사업에 종사한 증인이다. 충남 청양 시외버스에서 시작해 대전으로 이전한 때부터 그의 부친은 남북여객운수를 인수해 1956년 대전교통을 출범시키고, 대전시내버스 공동관리위원회를 발족해 공동배차를 시작했다.

 

김광철
대전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인 김광철 대전교통 대표이사.

김광철 대표이사는 "중학생이던 1960년대 버스를 대전 대흥동의 공업사에서 4~5개월에 걸쳐 차체 골조를 손으로 제작했다"라며 "버스 창틀을 만들 알루미늄이 없어 나무로 만든 창문은 비오는 날이면 열리지 않았다"고 기억했다. 교통수단이 부족할 때 시내버스는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절대적으로 의존하던 '시민의 발'이었다. 버스노선이 신설된 마을에서는 잔치를 열어 회사에 떡을 보내주거나 같은 시간에 만나는 주민들로부터 마을 소식을 누구보다 먼저 알 수 있던 때도 있었다. 


김 대표는 "겨울에 도로가 얼어 언덕을 오르지 못할 때 주민들이 나오셔서 흙도 뿌리고 밀어주셨고, 어쩌다 운행이 중단될 때면 기사들이 오히려 학교에 못 가게 된 학생들을 걱정해 조바심을 냈다"며 "시민을 위한 일이라는 데 자부심이 컸고 열정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4개 시내버스 회사가 운행노선을 개발하고 배차간격을 자율적으로 협의한 '공동관리위원회'는 대전이 낳은 대중교통 혁신 사례다.

1970년 대전교통, 계룡버스, 동진여객, 경익운수는 운송사업조합 내에 공동관리위원회를 만들어 경쟁 노선에 공동배차를 시작했다. 

 

버스2

김 대표는 "더 많은 손님을 먼저 태우려고 대전역부터 서대전삼거리까지 과속경쟁을 벌였고,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만든 게 공동관리위원회"라며 "버스회사가 자율적으로 논의 기구를 만든 첫 사례이고, 협력을 바탕으로 취약지역까지 노선을 확대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김광철 대표는 "준공영제에서 재정부담금이 늘어나는 것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현실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며 "자세히 살펴보면 도시철도나 타 시·도의 완전공영제보다 대전의 시내버스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