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과학
  • 대전정부청사

코로나19 완화에 충청권 '귀촌 인구'도 감소했다

통계청 '2022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발표

정바름 기자

정바름 기자

  • 승인 2023-06-22 18:50

신문게재 2023-06-23 1면

시도별 귀어
시도별 귀농어, 귀촌 가구 분포 (자료=통계청 제공)
2022년 '시골살이'를 위해 충청권으로 향하는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2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경기도 다음으로 많은 충남의 귀촌 가구는 3만 7919가구로 전년(3만 9956가구)보다 5.1% 줄었다. 귀농 가구 역시 1562가구로, 전년(1800가구) 대비 13.2%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귀어 가구는 충남이 전국에서 가장 많지만, 지난해 324가구로 전년(356가구) 대비 9% 줄었다.

충북의 귀촌 가구(2만 2718가구)도 전년(2만 4116가구) 대비 5.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귀농 가구(942가구)도 전년(1068가구)보다 11.8%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귀촌을 위해 대전을 떠나는 이들도 감소했다. 지난해 전 거주지역별 귀농인을 조사한 결과, 대전의 경우 494명이 시골로 향했는데, 전년(668명) 대비 26% 줄었다.

전국적으로도 시골행을 택하는 이들이 줄었다. 지난해 전국 귀촌 가구는 31만 8769가구로 전년(36만 3397가구)보다 12.3%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산촌 지역으로 귀촌한 가구(4만 3587가구) 역시 6% 감소했다.

귀농 가구는 1만 2411가구로 전년보다 13.5% 줄었고 평균 가구원 수도 1.36명으로 0.02명 감소했다. 이중 전업 귀농인은 전년보다 11.6%, 겸업 귀농인 역시 14.3% 줄었다. 전국 귀어 가구도 951가구로 전년(1135가구)보다 16.2% 감소했고, 전년 대비 전업 귀어인 8%, 겸업 귀어인 28.8%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귀촌 인구가 줄어든 것에 대해 코로나19 완화와 주택 거래량 감소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0년부터 2년 연속으로 코로나로 인해 귀촌에 관심을 가지고 이동하는 분들이 많았으나 지난해 평년 수준으로 돌아왔다"며 "전년에 주택거래량이 감소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귀농·귀어인 평균 연령도 높아졌다. 귀농인 평균 연령은 56.4세로 전년보다 0.6세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60대가 38.1%로 가장 높았으며, 50대가 31.8%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 비중은 60대와 70대 이상에서 증가했고,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줄었다. 귀어인의 평균 연령도 53.6세로 전년보다 0.9세 높아졌다. 연령별로는 50대가 32.5%로 가장 높으며, 60대가 29.8%로 다음을 차지했다.

귀촌 가구 중에는 1인 가구가 가장 많았다. 1인 가구는 77.6%(24만 7468가구), 2인 가구는 15.3%(4만 8912가구)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1인 가구의 비중이 2.4%p 증가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