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행정
  • 세종

'방문객·매출액' 점유율 1% 미만...세종시 관광의 현주소

본보, 한국관광공사 제공 자료로 2024년 한해 방문객 수, 매출액 등 분석
방문객 0.8%, 매출액 0.2%, 네비게이션 0.7% 점유율 기록
대형 유통점·레저 시설 부재 현실...수도권으로 돈과 사람 쏠림 뚜렷

이희택 기자

이희택 기자

  • 승인 2025-01-03 15:43
KakaoTalk_20250103_153641976_06
좌측부터 금강과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지, 국립세종수목원, 중앙공원, 호수공원으로 이어지는 중앙녹지공간 전경.이 곳은 미래 행정수도 관광의 특화 영역으로 통한다. 사진=이희택 기자.
'행정수도 마이스(MICE) 관광', '야간 경제 관광', '호수·중앙공원·수목원·박물관 거점 관광', '정부청사 옥상정원 등의 정원 관광'.

세종특별자치시가 특화 관광 전략으로 고려해볼 만한 요소들이다. 2024년 관광 도시로서 현주소는 바닥을 면치 못했다.

한국관광공사가 제공한 한국관광데이터랩을 분석해보면, 앞으로 숙제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2023년 12월~2024년 11월까지 1년간 방문객(내지+외지 KT) 점유율은 전국(120억여 명)의 0.8%(777만여 명)에 불과했다. 역시나 경기(24.1%)와 서울(17.9%), 인천(5.5%) 등 수도권 점유율이 47.5%로 압도적 수치를 보였다.

지방에선 경남이 6.3%, 부산과 경북이 각각 5.6%, 대구가 4.4%, 울산이 2%로 경상권(23.9%)이 우위를 보였고, 충남(4.6%)과 충북(3.3%), 대전(2.8%) 등 충청권 점유율은 11.7%에 그쳤다. 전라권은 전남(4.1%)과 전북(3.9%), 광주(2.6%), 제주(2.2%) 등 모두 12.8%로 집계됐고, 강원은 4.3%의 점유율을 보였다.

지역경제 활성화 지수로 볼 수 있는 매출액(전체 3.75조 원 규모) 점유율도 경기 22.4%, 서울 33.5%, 인천 4.7% 등 수도권에서 60.6%로 방문객 점유율을 크게 넘어섰다.

이처럼 돈과 사람이 수도권으로 쏠림 현상은 지방 소멸 가속화의 다른 말로 풀이된다.

지역에선 부산(7.8%)과 대구(4.7%), 경남(3.5%), 경북(2.6%), 울산(1.3%) 등 경상권이 19.9%로 후순위를 이었고, 대전(4.1%)과 충남(2.5%), 충남(2.1%) 등 충청권이 8.7%, 광주(2.3%), 전남과 제주(각 2%), 전북(1.6%) 등 전라권이 7.9%, 강원이 2.6%로 조사됐다. 세종은 대부분 식음료 매출 유형으로 0.2%에 머물렀다.

세종시가 코로나 19를 거치며 상권 공실 악화와 경기 침체, 역외 소비 증가 현상을 맞이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네비게이션(티맵) 검색 건수(5억여 건)로도 세종은 0.7% 점유율에 머물렀다. 경기도(30.3%)와 서울(14.3%), 인천(7.1%), 강원(6.8%), 충남(5.3%), 부산(5.2%), 경남(5%), 경북(4.6%), 충북(3.5%), 전남(3.4%), 대구(3%), 제주(2.7%), 전북(2.6%), 대전(2.3%) 등의 순이다.

제목 없음
2024년 한해 세종시에서 가장 많은 네이게이션 검색이 이뤄진 장소 순위. 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세종시의 주요 지점별 최대 네비게이션 검색 순위는 ▲조치원역(약 16만회) ▲국립세종수목원(8만여 회) ▲세종호수공원(8만여 회) ▲대평시장(7만여 회)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6만여 회) ▲전의면 세종에머슨CC(4.7만여 회) ▲조치원 세종전통시장(4만여 회) ▲부강역(3.6만여 회) ▲전동면 베어트리파크(3.6만여 회) ▲종촌동 CGV 세종(3.5만여 회) ▲전의면 레이캐슬CC(3.3만여 회) ▲메가박스 나성점(3.2만여 회) 등의 순위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인천공항(646만여 회) △김포공항(약 178만 회) △스타필드 하남(166만여 회) 광명역(152만여 회) △스타필드 수원(147만여 회) △스타필드 고양(135만여 회) △현대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104만여 회) △더현대 서울(93만여 회) △현대백화점 판교점(92만여 회) △서울역(91만여 회) △에버랜드(89만여 회) 등 주요 교통·유통·레저 시설 중심으로 방문이 잦았다. 아울렛이나 백화점 등 대형 쇼핑몰과 놀이공원 하나 없는 세종시 현실이 대조를 이뤘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50103_153641976_01
2025년 세종시는 새로운 도약의 한해를 맞이할 수 있을까. 사진은 전월산 정상에서 본 1월 1일 일출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