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스마트팜 청년농 육성… 정착 지원도 중요하다

  • 승인 2024-10-21 17:58

신문게재 2024-10-22 19면

스마트팜 사업 본격화는 고령화되는 농업에 젊은 피를 수혈하자는 의미다. 지역 대학의 농업 관련 학과를 나와 스마트팜 전문가로 인정받으면 자긍심은 기본이고, 식량주권 확보나 농업의 6차산업화 차원에서도 든든한 일이다. 시설원예와 축산의 스마트팜 교육과정 공동 개발부터 청년농 정착 지원 확대가 대안이라는 건 선택의 여지가 없다.

물론 젊은 인재 중심으로 첨단기술을 장착한 농업 인력구조 고도화 계획은 아직은 이상 쪽에 가깝다. 현실은 어렵더라도 지속가능한 농업은 우리 농업에는 긴급한 현안이다. 그것은 시설원예와 축사의 30%를 스마트농장으로 전환하는 농업 플랫폼의 격상으로 끝나지 않는다. 자연재해나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스마트팜을 일구는 청년들이 후계 농업인으로 남는 일이 더 중요한 이유다.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대로 청년농 경영주 규모는 2014년 약 1만호(0.9%)에서 지난해 5000호로 반쪽이 됐다. 소득 창출과 기술 습득 문제가 주요 걸림돌이었다. 다시 스마트 청년농 양성 사업에 눈길을 돌리지 않을 수 없다. 충남도와 남서울대, 단국대, 한서대, 혜전대가 21일 맺은 '스마트 청년농업인 양성 및 유입 지원' 협약은 그래서 더 주목된다. 충남도가 충남교육청, 대전·충남의 대학들과 이미 체결한 협약의 후속편이다. 스마트팜·원예학과 있는 대학이 힘을 합친다는 데 방점을 찍을 수 있다. 지역소멸 해소 차원의 유용한 해법이 되면 금상첨화다.

다만 현장형 영농기술을 익힌 3만 명을 키워도 맞춤형 현장 지원이 부실하면 떠난다. 청년농 숫자 늘리기에 급급하다가 이탈을 못 막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다각적 영농 정착 지원과 함께 입지나 참여 조건에 대한 전면적 규제 개혁도 따라야 한다. 농산물 판로 확보 등 신경 쓸 부분은 더 많다. 청년농 비중을 중장기적으로 전체 10%까지 키운다는 과감한 발상이 실현되려면 세심한 대응과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농업에도 혁신뿐 아니라 경영 안정이 요구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